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Table of Contents
Week01: Introduction and Theories and Methods (March 16, 18)
Concepts and Ideas
Online Lecture Content 001
Online Lecture Content 002
Online Lecture Content 003
Online Lecture Content 004
Online Lecture Content 005
Online Lecture Content 006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 에서 가설의 작성 부분까지 읽어 올 것. 다음 주 주말에 퀴즈 봅니다.
Introduction
Science and social science
Paradigms, Theory and social research
Read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
-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 Science way of knowing – scientific knowledge
- History of media research, a brief
- Theory - philosophical way of explanation
- plato's idea
- empiricism
- John Locke
- David Hume
- observation and logic
Ethics
- No harm to participants
- Informed Consensus
-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 Deception and debriefing
-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s)
- Laud Humphreys' study Tearoom Trade
- Milgram's study (Human obedience)
Assignment 1
Week02: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cont. (March 23, 25)
https://youtu.be/fa50wHuZcrU : 007
https://youtu.be/8HGbASucoCs : 008
https://youtu.be/of0mrDE2E2I : 009
https://youtu.be/7t-eghtCOIw : 010
https://youtu.be/El8zs0YEmfg : 011
Concepts and Ideas
- from the previous week +
Book (Babie's)
- Human inquiry and science
- In general, a scientific assertion must have logical and empirical support: It must make sense, and it must not contradict actual observation. . . . Epistemology is the science of knowing; methodology (a subfield fo epistemology) might be called the science of finding out. This book presents and examines social scientists find out about human social life.
- 실제에 대한 물음?
- Reality or realities (실제와 실제(복수))
- objectivity vs.
subjectivity - inter-subjectivity
- 사회과학의 기반
- 이론(theory)에 기반한
- 철학이나 신념이 아닌. . . . 3번째 approach의 경우에는 이것이 흔들릴 수 있음
- 규칙성, 사회적 규칙성 (Regularities and social regularities)
- 물리학적 규칙성: law of physics: 만류인력의 법칙
- 사회학에서도 규칙성이 존재 그러나,
- 예외 또한 존재. 따라서 사회적 규칙성은 확률적으로 살펴볼 수 밖에 없다는 주장
- 집합적 규칙성 (Aggregates):
- e.g., 미국에서의 출생률
- Variables(s)
- Study of ideas and concepts and constructs
- Study of variables
-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 Nomothetic explanation . . . regularities
- Determinism vs. Free Will
- Induction (연역) vs. deduction (귀납)
- Qualitative vs. quantitative
- Scientific vs. . . . . (phenomenonological?)
- Ethics
- No harm to subjects
- Confidentiality vs. Anonymity
- Deception
- Report (to …)
- System … IRB
Class activities
- 폭동 중 일탈행동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였다. 경찰이 약탈을 목격한 사람들의 신원을 밝히라고 요구하였다. 조사자는 공모자로 체포될 위험을 피하기 위해 그 요구를 들어주었다.
- 조사 프로젝트 보고서의 최종본을 완성한 후, 연구자는 2000명의 서베이 면접자 중 25명이 면접원에 의해서 꾸며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저자는 방대한 분량의 연구를 보호하기 위해 이 정보를 폐기, 제외하고 책을 발간하였다.
- 연구자들은 어버이연합의 회원 목록을 입수하였다. 그들은 이들에게 접촉하여 “공공여론”을 조사하기 우해서 일반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선출되었다는 설명을 하였다.
- 연구자가 급진적 정치집단을 연구하기 위해서 그 집단에 가입하였다. 그 집단이 다음과 같은 계획을 한다면 연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불법적이지만 평화적인 시위
- 사람이 없는 것이 확실한 시간에 공중건물 폭탄폭파
- 공무원 살해
- 황우석박사를 옹호하는 책이나 문서 등을 찾아서 읽고,
- 자신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지
-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지를 말하라
Key terms
- attribtues
- deduction
- induction
- nomothetic
- dependent variable
- idiographic
- theory
- independent variable
- variables
Assignment 2
Week 3: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cont. (March 30, April 1)
Notes
- 조원구성과 관련해서는 3주차 강의 동영상 12 참조
Media Research Methods -Youtube Playlist 에서 3주차 강의 동영상 12, 13, 14, 15 입니다.
- MRM 012: Grouping 21:33
- MRM 015: Summing up 9:06
Concepts and Ideas
- 파라다임: 관찰이나 추론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근본적인 모델이나 준거틀
- Thomas Khun (1970): 파라다임
- 중요하고 실질적인 변화에 저항하는 자기방어적인 틀 형성으로
- 이상성(anomaly)이 축적되는 형태로, 그리고 종국에는 옛것을 새것이 대체하는 형태로 …
-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 거시 대 미시 이론
- 실증주의 (positivism), A. Comte
- 과학적 접근법을 이용한 사회연구
- 사회진화론
- 종의기원 (C. Darwin)
- Herbert Spencer (1820-1903)
- 갈등 파라다임
- K. Marx (1818-1883)
- Historical Materialism
- G. Simmel 등 소규모 갈등관계
- M. Chossudovsky, 1997 연구: IMF가 선진국 다국적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개발도상국이 이용되는 것을 보여줌
- 상징적 상호작용 (symbolic interactionism)
- G. Herbert Mead
- Socialization through social interaction
- Generalized others
- 민간방법론
- Ethno-methodo-logy
- H. Garfinkel
- 구조기능주의
- 유기체(organism): 항상성 유지, 발전(성장)
- 합리적 객관성의 재고
- Ash의 실험
- 객관성에 대한 의심
- 탈과학적 사고방식 –
- post-structuralism
- de-constructionism
- de-structuralism
- post-modernism
Assignment
Class Activities
Week 4: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pril 6, 8)
Media Research Methods Play list 16, 17, 18, 19, 20, 21
- 다음 주 5주차 수요일 (두번째 클래스) 실시간 모임
- via MRM: Live room
- 그룹구성원과 커뮤니케이션
—-
- 그룹활동
- Attention: 그룹과제는 반드시 그룹활동을 통해서 수행해야 함
- 개인이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하는 등은 발견시 많은 감점
- 각 개인참여로 완성되는 과제라도 일관성 혹은 통일을 이루어야 함
- ABB 위키에 그룹활동 결과 (과제 등 업로드)
- ABB 저널에 그룹활동 내용 일지 기록
- 지정된 그룹활동 (가령, group assignment week 06) 중 참여한 사람과 비참여한 사람
- 기말까지의 기록으로 그룹개인 평가
- 마지막에 peer review
- 각 구성원 평가
- 점수와 (1-10)
- 코멘트로 평가
—-
Textbook
- 사회이론의 요소
- 사실을 모으는 관찰 observation for facts
- laws and principles
- 보편적 확실성 in natural science
- but, in social science
- 이론: 특정한 생활양식과 연관된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 과학 논리체계
- Theories 이론
- 가계소득 수준과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
- 연구문제: 가계소득 수준과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
- 개념: 가계소득 수준 (socio-economic status) | 청소년 비행
- 가설: hypothesis
- 변수(변인): variables
- 가설: 위의 개념 간의 관계를 이론에 맞추어 선언. 이 때의 개념은 측정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를 조작화라고 함
- Observation 관찰
- 연역, 귀납
- 위는 연역의 예
- 귀납의 예
- 마리화나 예
- 흡연자와 비흡연자: 동등한 학업성적, 학교활동, 대학생활적응
- But,
- 여성 < 남성
- 동양계 < 비동양계
- 집 < 자취
- 사회구속이론 (긴장이론) 도출
Concepts and Ideas
- 가설
- 연역
- 귀납
- 이론
- 조작화
- 조작적 정의
- 도서관 사용
- endnote 혹은 refworks
Assignment 4
Week 5: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is II (April 13, 15)
- https://youtu.be/4xB-XipaXNg : Level of Measurement
- https://youtu.be/5XmPotGh79c : Research Process and Proposal
- https://youtu.be/cpZow7rO_Yk : Group Assignment
- https://youtu.be/7qZMXqPC2bY : Research Ethics
Concepts and Ideas
- Nomothetic Explanation 법칙정립적 설명
- 상관 - 관계 with NO spurious relationship (허위관계)
- 인과관계의 정립/성립 사회과학에서의 인과관계
-
- 개인, 집단, 조직, 사회적상호작용, 사회적유물(가공물),
- 연구 프로젝트
- 개념화
- 조사방법선택
- 조작화
- 모집단과 표집
- 관찰
- 자료처리
- 분석
- 적용
- 연구계획서
- 문제 혹은 목적
- 문헌검토
- 연구대상
- 연구문제 혹은
- 가설
- 측정
- 자료수집방법
- 분석
- 예상결과
- 시간계획
Class Activities
- Using the library to search research articles
* Using the refworks
Assignment
그룹과제
- 연구프로포잘 작성을 위한 준비
- 연구관심사 및 연구문제의 도출 (그룹 discussion을 통해서 통일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논문 찾기 (일인당 최소 2개 이상)
- 학술DB를 이용하여 관련 이론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 논문을 요약하고, 관련된 이론 소개하기
- 일단 이론을 찾으면, 이론에 대한 설명을 더 찾아서 보강하여 자신만의 생각으로 정리하여 설명해야 합니다. 설명에는 출처를 밝히시기 바랍니다.
- 더하여 이 이론이 왜 그룹의 학문적 관심사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해야 합니다.
- 6주차 목요일까지 완성하여 abb 그룹과제로 업로드 필요 (아래한글 파일은 안됨)
- abb를 직접 사용하거나, MS Word를 이용하여 파일을 만들고 업로드 할 것
추가 사항
- 심리학, 사회학, 사회심리학, 신문방송학, PR, 광고, 인지심리학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
- 이론에 대해서 충분히 리뷰를 (선행연구조사) 수행한 논문을 찾을 것 (5장짜리 논문 등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free riding (공짜편승)
journal = 권한, 일지작성
peer review = group memebership 간에 평가
Week 6: Research (April 20, 22)
6주차 온라인 수업내용
https://youtu.be/sfHuVgx2y5I : 리서치프로젝트플랜 (4장)
https://youtu.be/rJdmkh38728 : 샘플링 (표집)
https://youtu.be/Yo4Ilqm1m0o : 평균, 분산, 표준편차, 자유도, 확률이론, 표준오차, 샘플평균의 표준편차, 중심극한정리
오늘 할 일 (tasks)
- MRM: Live room 접속
- 간단한 테스트 및 출석체크
- 과제설명 및 질문/응답
- 고욱교수님 수업 중 미디어심리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다른 교양 수업 중 심리학, 사회학 수업 중 인간, 조직, 사회, 구조 등에 대한 수업을 들었으면 자신의 관심분야에 대한 이론들에 대해서 파악하고 있을 텐데 여기서 시작을 해도 좋을 듯. 가령
- selective exposure theory에 기반해서 그룹이나 집단의 의견이 양극화 된다는 연구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음. 특히 요사이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택하는 콘텐츠 혹은 정보 외에도 정보제공회사가 기술을 이용하여 (customization, big data analysis, recommendation system 등등) 특정 방향의 콘텐츠 만을 유통하고 이것으로서 세상을 형성할 수 있음.
- 또한 이와 관련하여 cultivation theory라는 것도 있을 수 있음 (매스미디어 폭력물 시청이 세상이 어떻다는 것을 심어준다는 이론). Cultivation 뉴미디어와 상호작용 하여 세상을 보는 관점이나 시각을 (특히 정치적 시각?) 특정 방향으로 심어준다고 볼 수 있음.
- 그렇다면
- “선택적노출이론 (혹은 선택노출이론) + 양극화 + 의견”과 같은 키워드로 dbpia 등을 찾고
- “배양이론 + 양극화 + 유튜브” 등등의 키워드로도 찾아 볼 수 있을 듯
- “선택적노출 + 극화 + 태도 + 뉴미디어” . . .
Agri-culture = Agri 기른다.
horti-culture = horti 기른다. 풀 = grass
cultivation = 배양이론 배양효과
benefit = 이익
bene - fit = 좋은 선의의
benefitial
benevolent = 좋은 + volent = will (의지)
benedict = 좋은 + dict = 말
malevolent = 나쁜의지의, 악한
malfunction =
malnutrition =
malpractice =
Concepts and Ideas
- Sampling 표집
- 역사:
- Alfred M. Landon | Literary Digest | Presidential candidate | 1916년 여론조사 (Woodrow Wilson vs. Charles Hughes) 예측 | 이후 매 4년마다 정확한 예측 | 1936년 예측: 전화번호부 + 자동차소유주 명부 → 1천만명 중 2백만명 응답 (22% 회수율 혹은 응답률) | Landon 57 vs Roosebelt 43 | Roosebelt 61 |
- Sampling frame see Sampling
- Thomas Dewey
- Thomas Dewey
- George Gallup | quota sampling (할당) | American Institute of Public Opinion | 36, 40, 44년 예측 | 1948. Thomas Dewey vs. Harry Truman |
- 상승추세 중 조사중단 | sampling representativeness
- Nonprobability, see Sampling
- Convenience: over-generalization (과잉일반화)
- Judgmental (판단) | Purposive (유의)
- Probability
- Representativeness (대표성)
- Equal Chance of Being Selected (ECBS) = EPSEM,
- Population (모집단)
- Probability Theory -
- Standard Error, 텍스트북의 표준오차설명 Confidence Level Confidence Interval
- Simple random sampling (단순무작위)
- systematic (체계적표집)
- Stratified (층화)
- Clustering (집락) Multiple clustering 다단계
Activities
- Discussion: Library Search
- Group Discussion: Building RQs and Hypotheses
Assignment
-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지난 주 내용에서 다룬 연구계획서에 대한 설명 (ch.5)을 토대로 자기 조의 연구계획서를 위키에 작성하시오
- 위키제목: 연구계획서 작성 (제6주차과제) - 몇조
- 내용은 지난 주의 클래스 activities항목과 교재를 참조하시오.
- 문제와 문헌연구는 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이를 계획서에 반영하시오
Announcement
Quiz:
- 1st quiz: 10/13 (classroom)
- RANGE: ~ Week 03, which will include
- Textbook + Lecture + materials used in the classroom (Theories, Lecture Note, etc.).
- In the lecture note
- Science,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humanity part
- Inquiry for researching
- History of communication research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 이론
- 철학적인 접근에서의 이론
- 과학적 방법론
- 연역과 귀납
- 접합중심적 접근 (Conjunctive-based approach)
- 특성중심적 접근 (Attributes-based approach)
- 상황중심적 접근 (Situation-based approach)
- 이론과 방법론
- 연구문제의 제기와 가설 부분까지
- Schedule 페이지 중의 외부문서 링크(위키피디아 등)의 내용은 일일이 숙지할 필요는 없으나 무엇과 관련된 것인지는 알아야 하며, 이와 관련된 강의내용은 숙지해야 합니다.
- TEXTBOOK
- Ch. 1 과학과 사회조사
- Ch. 2 윤리와 정치
- 2.1 - 2.3 절까지
- Ch. 3 탐구, 이론, 패러다임
- 2nd quiz:
- During the mid-term exam period
- RANGE: 1st quiz + Week 07, which will includes
- Textbook + Lecture + materials used in the classroom.
- In the lecture note: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 이론
- 철학적인 접근에서의 이론
- 과학적 방법론
- 연역과 귀납
- 접합중심적 접근 (Conjunctive-based approach)
- 특성중심적 접근 (Attributes-based approach)
- 상황중심적 접근 (Situation-based approach)
- 이론과 방법론
- 연구문제의 제기와 가설 부분까지
- TEXTBOOK
- 첫 퀴즈 범위 Ch. 1, 2, 3
- Ch. 4
- Ch. 5
- Ch. 6 강의하는데 까지
Week 7 (April 27, 29)
Concepts and Ideas
Hypothesis Testing 가설검증에 대해서
- Sampling distribution
- Standard error
- CLT에 대해서 이해해 둘 것
Types of Error type I and type II error
- alpha, p-value, confidence level
- beta, beta 에러를 줄이는 법
- conception - conceptualization - concept
- 구상개념 - 개념화 - 개념
- 사회조사에서 어떤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동의해가는 과정을 개념화(conceptualization)이라고 . . .
- 지표와 차원
- “동정심”이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indicating) 것:
- 크리스마스에 아동병원을 방문
- 떨어진 새를 둥지에 다시 넣어주는 것
- . . . .
- 총 10개의 지표 (indicators)
- 김무송: 7개 | 이하니: 9개 | 최무식: 2개 | 전천후: 5개
- 동정심의 차원 (dimmension)
- 새에 대한 동정심
- 인간에 대한 동정심
- 종교적인 동정심 (one hand on the bible, one hand on the gun . . . Which way are you going?)
- 혹은 감정적인 vs. 행동적인 동정심
- NOIR
- Ratio: absolute zero (nothingness)
Assignment
Week 8: Midterm Period (May 4, 6)
Concepts and Ideas
Assignment
Week 9: (May 11, 13)
Concepts and Ideas
- Levevl of Measurement
-
- 상호배타적 (mutually exclusive)
- 망라적 (exhaustiveness)
-
- Bielby, W., & Bielby, D. (1999). Organizational Mediation of Project-Based Labor Markets: Talent Agencies and the Careers of Screenwriter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4(1), 64-85. Retrieved from http://www.jstor.org/stable/2657278 PDF
- 측정: 대학에서의 학업성취
Assignment
Week 10: (May 18, 20)
Assignment
- 도서관이나 인터넷 상에서 미디어현상과 관련된 실험을 이용한 연구보고서를 찾아보시오. 이 연구에서
-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은 무엇이었는지,
- 각각의 측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 처치집단과 제어집단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
- 콘텐트 분석을 방법으로 하는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도서관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것을 중심으로 선택할 것.
Week 11: (May 25, 27)
Concepts and Ideas
양적관찰 vs 질적관찰
- Unobtrusive Research 비개입적 연구
- Qualitative 질적현장연구
- Case Study
- Institutional Ethnomethodology
- Participatory Action Theory
Assignment
Final Assignment (group assignment)
- 양적연구 (survey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unobtrusive research, content analysis, etc.)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미디어현상(전공)과 관련된 논문을 완성하시오.
- 소개글 및 선행연구 조사정리
- 선행연구에 기반한 연구문제를 세우고
- 필요하다면 이와 관련된 가설을 만들고,
- 관련된 변인에 대한 설명과 측정에 대한 설명
-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작업
- 서베이 문항 작성 혹은
- 실험 디자인 및 문항 작성 혹은
- 자료 추출
- 실제 데이터를 구하여 (만들어도 가능) 이를 분석한 후
- 그 결과를 정리하고,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논의하여
- 논문을 완성하시오.
- APA 스타일 사용 참고:
Week 12: (June 1, 3)
Concepts and Ideas
Assignment
Week 13: Some Others (Clustering, Social Network Analysis…) (June 8, 9)
Concepts and Ideas
Assignment
Week 14: Some Others (Clustering, Social Network Analysis…) (June 15, 17)
Concepts and Ideas
Assignment
Quiz 03:
강의 내용
- from Week 06
- Sampling . . .
- Research Question
- Hypothesis
- Conceptualization
- 지표, 차원
- Level of measurement:
- NOIR
- Lickert
- Semantic Differential
- 쌍대비교척도
- Reliability
- Validity
- Research Design
- Survey
- Experiment
- Unobtrusive Research
- Qualitative
- Naturalism – theories part
- Ethnomethodology
- Grounded Theory
텍스트북
- 5장
- 약사
- non-probability
- probability
- poputation and sample frame
- sampling
- CLT + sampling distribution + sampling error
- 6장
- 2. 존재하는 것의 측정
- 3. 개념화
- 6. 측정의 질
- 7장
- 2. 지수 대 척도
- 3. 지수의 구성
- 4. 척도의 구성
- 8장
- 2. 적합한 주제
- 3. 질문작성
- 4. 설문지 구성
- 5. 자기기입식: 응답률 부분만 (p.370)
- 8. 온라인서베이
- 9. 서베이방법들 간의 비교
- 10. 장단점
- 11. 이차분석
- 9장
- 2. 적절한 주제
- 3. 고전적 실험
- 4. 피험자 선정
- 5. 다양한 실험설계
- 7. 대안적 심험상황
- 8. 장점과 단점
- 10장
- 내용분석
- 비교역사분석
- 11장
- 2. 적절한 주제
- 3. 고려사항
- 4. 파라다임들
- 5. 실행
- 6. 장점과 단점
Week 15: Project Presentation (Dec 22, 24)
Dec 13: Presentation
Week 16: Final Period (Dec 15, 19)
Dec 15: Exam Period
2016-12-19 시험 월2,월4교시 월(10:30-12:30)
범위
types of error
7장
2. 지수 대 척도: 지수와 척도 차이점
4. 척도의 구성:
8장. 서베이 조사
2. 적합한 주제
3. 질문을 위한 지침
- 모두
4. 설문지 구성
- 일반설문지 형태
- 조건부 질문
- 행렬식 질문
- 문항의 순서
- 지시문
5. 자기기입식: 응답률 부분만 (p.370)
8. 온라인서베이
9. 서베이방법들 간의 비교
10. 장단점
11. 이차분석
9장
2. 적절한 주제
3. 고전적 실험
- 독립, 종속변수
- 사전, 사후조사
- 실험, 통제집단
4. 피험자 선정
- 확률표집
- 무작위화
5. 다양한 실험설계
- 실험설계
- 타당도 문제
- 실험예시
7. 대안적 심험상황
8. 장점과 단점
10장 내용분석
2. 내용분석
- 적절한 주제
- 표집
- 분석단위
- 표집기법
- 내용분석의 코딩
- 현재/잠재
- 내용분석의 실제 사례
3. 기존 통계자료의 분석
- 뒤르켐의 연구
- 세계화
- 분석단위
- 타당도의 문제
- 신뢰도의 문제
4. 비교역사분석
- 예
- 분석방법
11장. 현장연구 (Field Study)
2. 적절한 주제
3. 고려사항
- 관찰자의 역할
- 관찰 대상과의 관계
4. 파라다임들
- 자연주의
- 민간방법론
- 현장기반이론
- 사례연구
5. 실행
- 준비
- 질적면접
- 포커스그룹
- 관찰기록
+
각 조의 발표 내용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