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blog:2014:0322_blog_entry_one [2014/03/22 03:59] – hkimscil | blog:2014:0322_blog_entry_one [2014/10/10 22:20] (current) – hkimscil |
---|
====== Blog entry one . . . ====== | ====== Announcement 1 ====== |
나아가서는 다윈의 (Charles Darwin) "자연선택이론 (Theory of Natural Selection)"과 맨델의 (Gregor Mendel) 유전학적 법칙의 등장은 인간 또한 자연과학의 대상이며 거기서 일정한 법칙에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서 도출되는) 지배될 수 있다는 생각이 일반적이 되도록 만들었다. 프로이드(Freud), 제임스 (William James), 듀우이(John Dewey) 등의 학문적 업적은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법칙의 발견이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 들여지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과학이 보편적인 원칙이 발견되는 (되어야 하는) 학문의 분야가 되도록 하였다. | 나아가서는 다윈의 (Charles Darwin) "자연선택이론 (Theory of Natural Selection)"과 맨델의 (Gregor Mendel) 유전학적 법칙의 등장은 인간 또한 자연과학의 대상이며 거기서 일정한 법칙에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서 도출되는) 지배될 수 있다는 생각이 일반적이 되도록 만들었다. |
| ====== ====== |
| 프로이드(Freud), 제임스 (William James), 듀우이(John Dewey) 등의 학문적 업적은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법칙의 발견이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 들여지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과학이 보편적인 원칙이 발견되는 (되어야 하는) 학문의 분야가 되도록 하였다. |
| |
따라서 시학과 같은 인문학은 점차 자연과학의 분야와 독립적으로 생각되게 되었으며, 사회과학이라는 분야가 부상하면서 자연과학과 같은 길을 걷는 학문으로 성장하였다. 좀 더 이야기 하자면, 사회과학이라는 단어는 자연과학이 발전하면서 그 연구의 대상이 확대 되면서 만들어졌다. 따라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이 취한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인 접근을 수용하고 자연과학 연구업적이 갖는 보편성을 지향하는 쪽으로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사회과학이라고 칭해지는 분야의 학문은 (discipline) 이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 따라서 시학과 같은 인문학은 점차 자연과학의 분야와 독립적으로 생각되게 되었으며, 사회과학이라는 분야가 부상하면서 자연과학과 같은 길을 걷는 학문으로 성장하였다. 좀 더 이야기 하자면, 사회과학이라는 단어는 자연과학이 발전하면서 그 연구의 대상이 확대 되면서 만들어졌다. 따라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이 취한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인 접근을 수용하고 자연과학 연구업적이 갖는 보편성을 지향하는 쪽으로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사회과학이라고 칭해지는 분야의 학문은 (discipline) 이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
| |
| |
~~LINKBACK~~ | |
~~DISCUSSION~~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