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f week for starting
이번 주에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 에서 가설의 작성 부분까지 읽을 것. 첫 번째 퀴즈에 나옵니다.
이번 주와 다음 주 동안 볼 동영상
Online Lecture Content 001 소개
Online Lecture Content 003 이론이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이란 단어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Online Lecture Content 004 이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인 접근. 경험론의 실증주의적인 “세상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인식
Online Lecture Content 005 이론이란 무엇인가? 이론에 대한 (4가지) 접근방법 소개와 Conjunctive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 – e.g. 구조주의
Online Lecture Content 006 Conjunctive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 – e.g. Marxism
Introduction
Science and social science
Paradigms, Theory and social research
Read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
이부분은 나중에 다룹니다.
Theories 참조
group polarization public opinion online –>
the link–>
논문 로칼링크
007 사회과학에서의 이론들. 4가지 범주들: Conjunctive Approach
008 4가지 범주들: Attributes-based Approach
009 4가지 범주들: Attributes-based Approach - e.g. Cognitive Dissonance
010 4가지 범주들: Situation-based Approach
011 4가지 범주들: Situation-based Approach - e.g. Phenomenology
Book (Babie's)
—-
Theories 참조
Media Research Methods -Youtube Playlist 에서 3주차 강의 동영상 13, 14, 15 입니다.
아래는 4주차 동영상에서 언급이 됩니다. 얼바비 교재가 이야기하는 이론에 대한 전반적 설명입니다.
이론에 대한 철학적 접근
철학 = 안다는 것 + 존재하는 것에 대한 연구
Plato . . .
Idea 사상
Copies of ideal things
Pictures = copies of beauty (아름다움의 모사)
Desks (that I see) = copies of the real desk
Human cannot experience the real thing (the
reality) only through copies
We get to the reality through copies and
conversation (대화 = communication).
John Locke . . . . 안다는 것에 대한 아이디어
Empiricism with Logicism (Cartesian Certainty)
= Logical empiricism
Certainty of knowledge
Desk in mind = Desk in reality
If I depict and describe the things that
I experienced, you would experience the
exact same thing
The thing that I experienced exist regardless
of my experience
Marx, Karl
History . . . . materialism (물질)
Who owns it?
Feudalism (중세의 장원주의) . . . land
Capitalism (근대의 자본주의) . . . capital
Accumulation of capital
Alienation of labor
잉여가치 surplus value
Class conflict
Economic determinism
Socialism to Communism
Base and superstructure
Historial materialism
Imperialism
Desk that I just saw = Desk that just came to my mind
No . . . .
Then
Desk that just came to your mind = Desk . . . . ????
No . . . .
Reality = Only exists in relation to one's consiousness = subjectivity
Then how do I talk about desk with others?
. . . .
Inter-subjectivity
Phenomenology (현상학)
4주차 동영상
—-
—-
양승찬의 논문에서 네개의 가설을 테스트 한다. 각 가설을 쓰고
Are users willing to embrace ChatGPT? Exploring the factors on the acceptance of chatbots from the perspective of AIDUA framework 논문에서는 많은 가설을 나열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설 4b까지를 읽고
6주 첫시간 퀴즈있습니다.
시험문제는 40-50문제 정도입니다.
시험범위는
아래는 4주차 동영상과 관련된 내용이니 4주차 동영상 참조하세요.
아래는 연구 프로젝트 설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Tuskegee Exp.
Milgram Exp.
Tearoom Study, ethical concerns
. . . .
* Using the refworks
Class activities 1
Class activities 2
6주차 온라인 수업내용
https://youtu.be/rJdmkh38728 : 샘플링 (표집)
https://youtu.be/Yo4Ilqm1m0o : 평균, 분산, 표준편차, 자유도, 확률이론, 표준오차, 샘플평균의 표준편차, 중심극한정리
Agri-culture = Agri 기른다.
horti-culture = horti 기른다. 풀 = grass
cultivation = 배양이론 배양효과
benefit = 이익
bene - fit = 좋은 선의의
benefitial
benevolent = 좋은 + volent = will (의지)
benedict = 좋은 + dict = 말
malevolent = 나쁜의지의, 악한
malfunction =
malnutrition =
malpractice =
—-
동영상
Hypothesis testing page 중에서 가설검증
Types of Error type I and type II error
sns를 많이 하면 세상을 보는 눈이 극화될까 (polarization)?
잡담
ped . . . . 발
pedal 발로 밟는 것
pedicure
pediment 발모양의 것 (발등처럼 생긴, 완만한 경사의 산기슭)
pedestal 발기둥 (받침대, 받침기둥)
pedigree 새발모양의 것 – 족보
pedestrian 발로 가는 사람 (보행자)
chiropodist 발 (손) 관리하는 사람
chiro 손
biped
quadreped x quadreped
apodal
centipede
ped → pod → pus
monopod
tripod
octopus
podium
pede
expede . . . expedite . . . . expedition
pediatrician 발 보는 사람 X
pedo- of child (아이)
pedophile . . . . 아이를 사랑하는
pedo + phil (사랑)
Philadelphia (아델피를 (형제) 사랑하는)
philosophy (소피를 (소피스트의 생각을) 사랑하는) = 철학
따라서,
pediatrician 발 보는 사람 X 아이보는 사람 = 소아과의사
두번째 퀴즈
Survey 내용과 동영상
참조
양적관찰 vs 질적관찰
mrm23.ga.building.hypothesis.
자기 조가 선택한 관심사와 그리고 관련된 이론을(들) 이용한 사회과학논문을 자기조원의 숫자만큼 찾고
거기서에서 가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시고
이를 토대로 다시 가설을 만들어 보세요 (가설의 숫자는 그룹구성원 숫자만큼을 최소한으로 합니다).
만들어진 가설에서
가설이 만들어진 이유와 논리 . . . .
만들어진 가설의 변인에 대한 설명
IV, DV, intervening V, . . . .
Level of measurement (측정의 방법)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베이나 실험, 혹은 다른 방법을 디자인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마감시간:
동영상 (비개입 연구)
양적관찰 vs 질적관찰
—- 아래는 다루지 않습니다.
Group assignment
May 18, 22
동영상 Unobtrusive Research Method + Social Network Analysis
May 25(목), 29(월)
영상
June 1(목), 5(월)
과제
15주 월요일 수업 전까지 완성해서 아주비비 Discussion forum 업로드
Final Quiz
퀴즈 범위
강의 내용
++++ Next
텍스트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