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validit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validity [2016/10/27 09:34] – [Validity] hkimscilvalidity [2019/05/13 08:25] (current) hkimscil
Line 1: Line 1:
 ====== Validity ====== ====== Validity ======
 +===== Internal Validity =====
 {{research.design.012.png}} {{research.design.012.png}}
  
Line 14: Line 15:
 위의 절차에서 '''온도'''와 '''찬음식 소비량'''간의 관계는 위 그림에서 각각 원인과 결과를 가르키는 개념이며 (위의 네모), '''여름'''과 '''아이스크림 소비량'''은 이 개념들을 측정가능하도록 한 보다 구체적인 개념(혹은 변수)라고 하겠다 (아래 네모).  위의 절차에서 '''온도'''와 '''찬음식 소비량'''간의 관계는 위 그림에서 각각 원인과 결과를 가르키는 개념이며 (위의 네모), '''여름'''과 '''아이스크림 소비량'''은 이 개념들을 측정가능하도록 한 보다 구체적인 개념(혹은 변수)라고 하겠다 (아래 네모). 
  
-여기서 연구자는 위의 화살표들이 모두 '''대표성'''을 띄는 '''정당'''한 것이냐라는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즉, +여기서 연구자는 위의 화살표들이 모두 '''대표성'''을 띄는 '''정당'''한 것이냐라는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혹은 측정하고자 하는 그 무엇을 측정한 것이 되는가라는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internal validity) 즉, 
  
- * 만약에 온도라는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여름이라는 계절을 선택한 것이 '''타당'''한가? +  * 만약에 온도라는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여름이라는 계절을 선택한 것이 '''타당'''한가? 
- * 찬음식소비량 이라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 아이스크림의 소비량을 측정한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 찬음식소비량 이라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 아이스크림의 소비량을 측정한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에 대한 회의(suspicion)에 아무런 의의가 없다면, 우리는 (적어도 외적으로는: 좀더 자세한 것은 다른 기회에) 이 연구실험에 일종의 타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런 타당성의 부여가 바로 validity이다. +에 대한 회의(suspicion)에 아무런 의의가 없다면, 우리는 (적어도 외적으로는: 좀더 자세한 것은 다른 기회에) 이 연구실험에 일종의 타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런 타당성의 부여가 바로 internal validity이다. 
  
 또한 연구자는  또한 연구자는 
  
- * 여름과 찬음식소비간의 관계가 타당한가?+  * 여름과 찬음식소비간의 관계가 타당한가?
  
 에 대한 회의(suspicion)를 해볼 수 있으며, 이 또한 validity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에 대한 회의(suspicion)를 해볼 수 있으며, 이 또한 validity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Line 40: Line 41:
 즉, 남성, 여성간에는 힘의 차이가 난다는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남성/여성을 분리하였고, 이 들이 의자를 들 수 있는가를 측정하였는데, '''의자를 어깨 높이 이상으로 들 수 있는가?'''라는 측정치와 힘이 세다는 개념간에는 논린적인 연결력이 부족한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자의 연구설계는 타당성(validity)의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는 위에서 언급된 validity뿐만이 아니라, 샘플과 관련된 validity, 그리고 realiablity의 문제도 있다. 이는 sampling과 realiability의 섹션에서 다루도록 한다.)). 즉, 남성, 여성간에는 힘의 차이가 난다는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남성/여성을 분리하였고, 이 들이 의자를 들 수 있는가를 측정하였는데, '''의자를 어깨 높이 이상으로 들 수 있는가?'''라는 측정치와 힘이 세다는 개념간에는 논린적인 연결력이 부족한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자의 연구설계는 타당성(validity)의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는 위에서 언급된 validity뿐만이 아니라, 샘플과 관련된 validity, 그리고 realiablity의 문제도 있다. 이는 sampling과 realiability의 섹션에서 다루도록 한다.)).
  
 +===== External =====
 +Internal validity가 측정의 적확성과 관계가 있다면, External validity는 generalization과 관계가 있다.
  
 ====== Types of validity ====== ====== Types of validity ======
validity.1477530264.txt.gz · Last modified: 2016/10/27 09:34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