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olog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typology [2020/05/06 21:43] – created hkimscil | typology [2020/05/06 22:03] (current) – [다변인측정]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 유형 (typology) ====== | ====== 유형 (typology) ====== | ||
- | 측정에서의 ([[: | + | 측정에서의 ([[: |
+ | |||
+ | ====== 교차범주 ====== | ||
+ | 아래는 어느 한 회사에서 취하여 시도할 수 있는 성에 관한 교차범주이다. 회사는 이를 통해서 개인의 교차범주에 따른 마케팅정책을 수행할 수 있다. 단순히 성을 (gender) 이요하여 마케팅정책을 수행하는 것보다 더 정교한 타케층을 구성할 수 있다. | ||
+ | |||
+ | ^ ^^ leisure type ^^ | ||
+ | ^ ::: ^^ masculine (male) | ||
+ | ^ gender | ||
+ | ^ ::: ^ feminine (female) | ||
+ | |||
+ | ====== 다변인측정 ====== | ||
+ | 두 개 이상의 변인에 대한 숫자 측정을 (Interval, Ratio) 한 후, 상관관계가 높은 변인 간을 묶은 수준의 개념을 수치화하여 (가령 factor score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겠다) 이를 변인화하는 것을 말한다 ((추출된 요인에 대한 (factor) factor score는 그 요인의 베타계수를 의미하므로 )). | ||
+ | |||
+ | [[:factor analysis]] | ||
+ | |||
typology.1588769006.txt.gz · Last modified: 2020/05/06 21:43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