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_acceptance_model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technology_acceptance_model [2017/05/26 11:50] – hkimscil | technology_acceptance_model [2017/06/05 09:56] (current) – [TAM]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See also, [[: | See also, [[: | ||
+ | ====== TAM ====== | ||
__Two concepts:__ | __Two concepts:__ | ||
Line 10: | Line 11: | ||
* 개혁확산이론에서는 거론됨. 혁식이 잠재적 수용자가 짖니고 있는 기존의 가치관, 과거의 경험, 그리고 필요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정도 (Rogers, 2003) | * 개혁확산이론에서는 거론됨. 혁식이 잠재적 수용자가 짖니고 있는 기존의 가치관, 과거의 경험, 그리고 필요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정도 (Rogers, 2003) | ||
- | 확장된 이론 | + | {{: |
+ | ====== | ||
{{ext.TAM.png|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ext.TAM.png|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
* 태도: 제외. " | * 태도: 제외. " | ||
Line 16: | Line 18: | ||
* 인지된유용성 | * 인지된유용성 | ||
* 인지된용이성 | * 인지된용이성 | ||
- | * 주관적규범: | + | * 주관적규범: |
* 사회적이미지: | * 사회적이미지: | ||
* 업무롼련성: | * 업무롼련성: | ||
Line 22: | Line 24: | ||
* 결과입증가능성: | * 결과입증가능성: | ||
- | extended TAM 3 | + | ====== |
{{ext.TAM3.png}} | {{ext.TAM3.png}} | ||
* 컴퓨터 자기효능감: | * 컴퓨터 자기효능감: |
technology_acceptance_model.1495768808.txt.gz · Last modified: 2017/05/26 11:50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