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survey [2020/05/17 13:38] hkimscilsurvey [2025/05/22 10:23] (current) – [Survey methods] hkimscil
Line 1: Line 1:
 +====== Survey ======
 Survey(서베이)라 함은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는 사회조사 방법중의 하나이다. 이 위키(교재)와 관련해서 이야기 한다면, 서베이 방법은 1 (Conjunctive), 2 (Attribute-based) 에 해당하는 이론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고 하겠다. 서베이는 아래의 그림에서  Survey(서베이)라 함은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는 사회조사 방법중의 하나이다. 이 위키(교재)와 관련해서 이야기 한다면, 서베이 방법은 1 (Conjunctive), 2 (Attribute-based) 에 해당하는 이론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고 하겠다. 서베이는 아래의 그림에서 
  
Line 7: Line 8:
 [[:제3자_효과이론과_침묵의_나선이론_연계성|제3자효과이론과 침묵의나선이론의 연계성 논문 예]] [[:제3자_효과이론과_침묵의_나선이론_연계성|제3자효과이론과 침묵의나선이론의 연계성 논문 예]]
  
-또 다른 예로 가장 많이 쓰이는 예는 모집단의 ([[:population]]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서 하는 서베이가 있다. 선거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한 후보의 지지도를 예측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가장 많이 쓰이는 예는 모집단의 ([[:population]]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서 하는 서베이가 있다. 선거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한 후보의 지지도를 예측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  * [[:c/mrm/standard_error|표준오차]]  
 +  * [[:c/mrm/standard_error#퍼센티지에서의_표준오차]]
  
 +이 방법은 여론 조작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blockquote>
 +. . . . 여론조사를 하는 척하면서 어떤 후보자에 관해 잘못되고 그릇된 정보를 유권자에게 제공한다. 사실, 의도는 여론을 알아보는 것이 아니라 조작하는 것이다. . . . 이런 여론조사는 선정된 후보자들에 관한 그릇된 정보를 퍼뜨리면서 그 후보를 중상모략한다. . . . 
 +<cite>얼 바비, p.343-344 </cite>
 +</blockquote>
  
 ====== Survey methods ====== ====== Survey methods ======
-기술적, 설명적, 탐색적 목적으로 사용+__기술적, 설명적, 탐색적 목적으로__ (([[https://www.pewresearch.org/our-methods/|PEW Research Center Survey Methods Explanation]])) 사용
 개인이 분석단위인 경우가 대다수 개인이 분석단위인 경우가 대다수
 모집단 추론의 대표적인 방법 (실험보다 더 나을 수 있음) 모집단 추론의 대표적인 방법 (실험보다 더 나을 수 있음)
 특히 모집단의 태도와 성향 특히 모집단의 태도와 성향
 +
 +이를 위해서 [[:population|population에서]] [[:sampling]]을 하게 된다. 이렇게 얻은 sample은 population의 대표성을 띄게 된다. Sampling에는 probability와 non-probability 두 가지가 있지만, 권위있는 리서치 기관이 모두 probability sampling을 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예로 대부분의 리서치기관은 opt-in sampling 방법을 하고 있는데 이는 샘플유닛인 개인이나 그룹이 __자발적으로__ 샘플이 될 것을 신청하는 것을 말한다. 
 +
 +기술발전으로 인해 polling 결과가 불확실해 지는 경향이 있다 (2020 미국대통령 선거 poll, [[https://www.pewresearch.org/course/public-opinion-polling-basics/#is-accurate-polling-becoming-harder-to-do|PEW 참조]])
 +
 +이 외에도 [[:experiment|실험방법을]] 취한 후에 서베이를 실행하여 결과를 얻기도 한다. 
  
 설문지 (questionnaire)의 완성 설문지 (questionnaire)의 완성
Line 31: Line 45:
   - 적절한 질문형태를 선택할 것   - 적절한 질문형태를 선택할 것
     * questions and statement     * questions and statement
-      * statement - likert scale [[:level_of_measurement#lickert_scale]]+      * statement - [[:scales#likert_scale]]
     * open ended and closed ended     * open ended and closed ended
-      * 심층적이고 질적인 질문 - O +      * open ended: 
-      * 응답의 통일성, 처리 및 분석 용이성 +        * 심층적이고 질적인 질문 - O 
-      * mutual exclusiveness +      * closed ended: 
-      * exhaustiveness+        * 응답의 통일성, 처리 및 분석 용이성 
 +          * 코딩이 될 것을 전제로 이에 대한 방법이 미리 제시되어 있어야 한다 
 +        * mutual exclusiveness 
 +        * exhaustiveness 
 +          * etc. 기타 가 사용되는 이유
   -  질문은 어떤 형태를 막론하고 명확히 할 것   -  질문은 어떤 형태를 막론하고 명확히 할 것
     * 문재인의 통일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문재인의 통일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한번에 한가지 질문만 할 것 (double-barreled question should be avoid).   - 한번에 한가지 질문만 할 것 (double-barreled question should be avoid).
-    * 쌍열식 질문 +    * 쌍열식 질문: 질문에 "그리고"가 들어가면 두 가지를 묻는 것이 아닌가 검토필요
   - 응답자가 응답하기에 쉬운 내용이어야 할 것   - 응답자가 응답하기에 쉬운 내용이어야 할 것
   - 응답자의 답변할 의지를 가져야 할 것   - 응답자의 답변할 의지를 가져야 할 것
Line 89: Line 107:
     * 5 or more choices --> interval or ordinal?     * 5 or more choices --> interval or ordinal?
  
-{{:cfcc.pdf}}+{{:cfcc.pdf|설문지 문항의 예}}
  
 ====== 종류 ====== ====== 종류 ======
 +[[:sampling]]  
 +===== 면접 서베이 =====
 ===== 우편 서베이 ===== ===== 우편 서베이 =====
- 
 ===== 전화 서베이 ===== ===== 전화 서베이 =====
- 
 ===== 온라인 서베이 ===== ===== 온라인 서베이 =====
   * 대표성의 문제 (general한 서베이의 경우: 정치적 여론 조사 등등)   * 대표성의 문제 (general한 서베이의 경우: 정치적 여론 조사 등등)
survey.1589690299.txt.gz · Last modified: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