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2020/10/14 14:53] – [초기의 연구: 총알이론] hkimscil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2024/09/05 09:00] (current) – [연관가설] hkimscil |
---|
| |
===== 제한적인 효과에 대한 발견 ===== | ===== 제한적인 효과에 대한 발견 ===== |
그러나 이와 같은 매스미디어의 강력한 효과에 대한 파악은 오래 가지를 못하였는데, 이는 2차대전 중의 사병교육을 위한 연구에서 나타났다. [[wp>Carl_Hovland Hovland]]((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Radio Research at the Princeton University)) 는 미군 사병 교육에 사용되는 홍보영화가 효과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였는데, 초기에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이 대단하다고 믿었던 기대에는 못 미치는 효과만이 있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선별효과((See http://socyberty.com/sociology/limited-effects-theory/))란 미디어 수용자가 메시지에 노출되면 그 메시지에게 지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부분만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병들에게 홍보영화를 보여 주었을 때 영화의 정보만이 전달되어 전쟁 발발의 이유 등과 같은 사실에 기반한 지식은 늘어나는 반면, 애국심 혹은 전투심 고취 등의 태도변화에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적이 있다. 또한, 이와 비슷한 시기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소스에 (source) 관한 연구도 활발하였는데, 신뢰성이 높은 소스가 정보전달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생각이 무너진 적 또한 있다. | 그러나 이와 같은 매스미디어의 강력한 효과에 대한 파악은 오래 가지를 못하였는데, 이는 2차대전 중의 사병교육을 위한 연구에서 나타났다. [[wp>Carl_Hovland Hovland]]((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Radio Research at the Princeton University)) 는 미군 사병 교육에 사용되는 홍보영화가 효과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였는데, 초기에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이 대단하다고 믿었던 기대에는 못 미치는 효과만이 있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선별효과((See https://www.communicationtheory.org/limited-effects-theory/))란 미디어 수용자가 메시지에 노출되면 그 메시지에게 지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부분만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병들에게 홍보영화를 보여 주었을 때 영화의 정보만이 전달되어 전쟁 발발의 이유 등과 같은 사실에 기반한 지식은 늘어나는 반면, 애국심 혹은 전투심 고취 등의 태도변화에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적이 있다. 또한, 이와 비슷한 시기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소스에 (source) 관한 연구도 활발하였는데, 신뢰성이 높은 소스가 정보전달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생각이 무너진 적 또한 있다. |
| |
이는 사실 세계전쟁을 격으면서 세계는 매스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맞이했고, 이 기술을 정치적 수단과 막연하게 연결하려는 (소련의 스탈린이 좋은 예((Need source)) 노력 혹은 시도, 당시의 심리학적인 경향의 영향 (Stimulus -> Response 로 대표되는 행동주의([[wp>Behaviorism]]) 등으로 강력한 매스컴 효과를 예측한 것과 달리 그 영향력이 대단하지 않음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 이는 사실 세계전쟁을 격으면서 세계는 매스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맞이했고, 이 기술을 정치적 수단과 막연하게 연결하려는 (소련의 스탈린이 좋은 예((Need source)) 노력 혹은 시도, 당시의 심리학적인 경향의 영향 (Stimulus -> Response 로 대표되는 행동주의([[wp>Behaviorism]]) 등으로 강력한 매스컴 효과를 예측한 것과 달리 그 영향력이 대단하지 않음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
| |
===== 가설의 요건 ===== | ===== 가설의 요건 ===== |
가설은 반드시 **두 가지 이상의 [[:Variable|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에 대한 선언 혹은 예측**이어야 한다. | 가설은 반드시 **두 가지 이상의 [[:Variables|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에 대한 선언 혹은 예측**이어야 한다. |
|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차이 (difference),” “관련 (association)” 으로 표현된다. 이 두 개념은 말 그대로를 받아들이면 된다. 차이는 말그대로 어느 한 변인이 내포하고 있는 특성 간의 다른 변인에 대한 차이를 의미한다. 아래의 가설을 살펴보자.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fc #ff0000>차이 (difference),</fc>” “<fc #ff0000>관련 (association)</fc>” 으로 표현된다. 이 두 개념은 말 그대로를 받아들이면 된다. 차이는 말그대로 어느 한 변인이 내포하고 있는 특성 간의 다른 변인에 대한 차이를 의미한다. 아래의 가설을 살펴보자. |
| |
> 가설1]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1]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
===== 가설작성 ===== | ===== 가설작성 ===== |
가설 예1 | ==== 차이 가설 ==== |
| |
| 예1 |
* <연구자의 관심 대상이 되는 변인 (I)>의 특성 | * <연구자의 관심 대상이 되는 변인 (I)>의 특성 |
* 을 많이 <혹은 적게> 가진, 에 노출 <혹은 비노출> 된, 을 가진 <혹은 갖지 못한> | * 을 많이 <혹은 적게> 가진, 에 노출 <혹은 비노출> 된, 을 가진 <혹은 갖지 못한> |
| |
위의 가설은 우선, 두 가지의 변인을 사용하며 이 변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선언한다: "미디어교육"이라는 변인과 "게임중독성"이라는 변인이 있으며, 미디어교육은 게임중독에 빠지는 것을 완화하는 작용을 할 것이라는 두 변인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가설은 연구문제에서 보이는 것처럼 의문형을 갖지 않고, 사회현상을 예측하는 선언문의 형식을 갖는다. | 위의 가설은 우선, 두 가지의 변인을 사용하며 이 변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선언한다: "미디어교육"이라는 변인과 "게임중독성"이라는 변인이 있으며, 미디어교육은 게임중독에 빠지는 것을 완화하는 작용을 할 것이라는 두 변인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가설은 연구문제에서 보이는 것처럼 의문형을 갖지 않고, 사회현상을 예측하는 선언문의 형식을 갖는다. |
| ==== 연관가설 ==== |
| 예, |
| * 통학거리와 학생의 학문적성취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 * 두 변인 |
| * 변인의 측정 |
| * 관계 |
| |
====== 연구의 설계 ====== | ====== 연구의 설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