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2020/03/23 14:35] – hkimscil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2024/09/05 09:00] (current) – [연관가설]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 | ====== Introduction | + | ====== Introduction. Science,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humanity |
- | + | ||
- | ===== Science,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humanity ===== | + | |
이 책은 사회과학을 하는 사람이면 한 번쯤 거쳐야 할 조사방법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사회과학분야의 조사방법론을 다루기에 앞서서 과학이라는 단어가 여러분에게 어떤 것을 던지는지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과학이 무엇인가라는 따분한 정의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과학이라는 단어로 인해 연상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묻는 것이다. 기초교육 기간 중에 바퀴의 시작, 피타고라스의 정리, 화성학, 점성학, | 이 책은 사회과학을 하는 사람이면 한 번쯤 거쳐야 할 조사방법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사회과학분야의 조사방법론을 다루기에 앞서서 과학이라는 단어가 여러분에게 어떤 것을 던지는지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과학이 무엇인가라는 따분한 정의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과학이라는 단어로 인해 연상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묻는 것이다. 기초교육 기간 중에 바퀴의 시작, 피타고라스의 정리, 화성학, 점성학, | ||
Line 13: | Line 11: | ||
이를 위해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에서 강조하는 연구방법론의 절차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흔히 " | 이를 위해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에서 강조하는 연구방법론의 절차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흔히 " | ||
- | ===== Communication Research ===== | + | ====== Communication Research ====== |
- | + | ===== Inquiry for researching | |
- | ==== Inquiry for researching ==== | + | |
일반적으로 연구는 (research)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 밟는 체계적 (systematic) 노력을 뜻한다. 연구 질문 혹은 연구문제의 제기는 일상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단순한 것이기 보다는 사회의 (집단, 조직, 그룹 등등) 커뮤니케이션 현상에서 나타나는 어떤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묻는 질문을 뜻한다. 따라서, " | 일반적으로 연구는 (research)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 밟는 체계적 (systematic) 노력을 뜻한다. 연구 질문 혹은 연구문제의 제기는 일상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단순한 것이기 보다는 사회의 (집단, 조직, 그룹 등등) 커뮤니케이션 현상에서 나타나는 어떤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묻는 질문을 뜻한다. 따라서, " | ||
Line 26: | Line 23: | ||
연구는 크게 보아서 두가지의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기초연구이며 (basic research), 둘째가 응용연구이다 (applied research). 지극히 상식적인 구분이다. 기초연구는 말 그대로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그 자체에 무게를 두고, 연구결과가 상품화된다든지 혹은 서비스화 된다든지에 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 편이다. 흔히 이야기하는 " | 연구는 크게 보아서 두가지의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기초연구이며 (basic research), 둘째가 응용연구이다 (applied research). 지극히 상식적인 구분이다. 기초연구는 말 그대로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그 자체에 무게를 두고, 연구결과가 상품화된다든지 혹은 서비스화 된다든지에 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 편이다. 흔히 이야기하는 " | ||
아래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역사에 대한 간단한 소개이다. | 아래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역사에 대한 간단한 소개이다. | ||
- | ==== History of communication research ==== | + | ====== History of communication research |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사회과학 혹은 인문과학 분야에 속한 연구분야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학인지 인문과학인지 불분명한 이유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분야가 심리학, 사회학, 경영학, 경제학, 정치경제학, |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사회과학 혹은 인문과학 분야에 속한 연구분야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학인지 인문과학인지 불분명한 이유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분야가 심리학, 사회학, 경영학, 경제학, 정치경제학, | ||
- | === 초기의 연구: 총알이론 === | + | |
+ | ===== 초기의 연구: 총알이론 | ||
초기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학자에 의해서 진행된 경향이 짙다. 가령 예일대학교의 심리학부 교수였던 라스웰은 (Laswell) 1900년대 중반에 영화라는 매체가 사병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당시에 사람들은 영화라는 새로운 매체는 수용자에게 (영화관람자) 비교적 획일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었는데, | 초기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심리학자에 의해서 진행된 경향이 짙다. 가령 예일대학교의 심리학부 교수였던 라스웰은 (Laswell) 1900년대 중반에 영화라는 매체가 사병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당시에 사람들은 영화라는 새로운 매체는 수용자에게 (영화관람자) 비교적 획일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있었는데, | ||
- | 일종의 사회적 검증의 예로 가장 강력하게 들 수 있는 것은 | + | 일종의 사회적 검증의 예로 가장 강력하게 들 수 있는 것은 |
웰스는 1938년 10월 30일 미국의 할로윈 특집으로 H. G. Wells의 소설인 세계전쟁(The war of the world ((스필버그의 영화, 우주전쟁 (2005) 또한 이 소설을 각색한 것이다 http:// | 웰스는 1938년 10월 30일 미국의 할로윈 특집으로 H. G. Wells의 소설인 세계전쟁(The war of the world ((스필버그의 영화, 우주전쟁 (2005) 또한 이 소설을 각색한 것이다 http:// | ||
Line 58: | Line 56: | ||
위의 예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당시의 매스미디어의 대중에 대한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파악이 되어 있었으며, | 위의 예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당시의 매스미디어의 대중에 대한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파악이 되어 있었으며, | ||
- | === 제한적인 효과에 대한 발견 === | + | ===== 제한적인 효과에 대한 발견 |
- | 그러나 이와 같은 매스미디어의 강력한 효과에 대한 파악은 오래 가지를 못하였는데, | + | 그러나 이와 같은 매스미디어의 강력한 효과에 대한 파악은 오래 가지를 못하였는데, |
이는 사실 세계전쟁을 격으면서 세계는 매스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맞이했고, | 이는 사실 세계전쟁을 격으면서 세계는 매스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맞이했고, | ||
Line 65: | Line 63: | ||
[[Two Step Flow Theory|2단계흐름이론]] 또한 이 시기에 미디어 메시지의 효과가 직접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어떤 사안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 형성은, 매스 미디어의 메시지로부터 직접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피니언 리더로 불리는 지역의 중심인물로 부터 정보를 받으면서 형성된다는 것이 이 이론의 주장이다. | [[Two Step Flow Theory|2단계흐름이론]] 또한 이 시기에 미디어 메시지의 효과가 직접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어떤 사안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 형성은, 매스 미디어의 메시지로부터 직접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피니언 리더로 불리는 지역의 중심인물로 부터 정보를 받으면서 형성된다는 것이 이 이론의 주장이다. | ||
- | === 중효과의 발견 === | + | ===== 중효과의 발견 |
제한적인 효과에 초점을 둔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는 연구자들이 다른 분야로 관심을 돌리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 제한적인 효과에 초점을 둔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는 연구자들이 다른 분야로 관심을 돌리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 ||
의제설정기능이론 ([[:Agenda setting]]) 또한 이 시기에 등장한 이론으로, | 의제설정기능이론 ([[:Agenda setting]]) 또한 이 시기에 등장한 이론으로, | ||
- | === 80년대의 강력효과 이론 === | + | ===== 80년대의 강력효과 이론 |
80년대 등장한 침묵의 나선이론은 ([[:Spiral of Silence]])미디어가 여론 형성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 이론의 요지는 여론의 형성 되는 과정에서 소수의 의견이 다수의 의견에 밀리는 상황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였는데, | 80년대 등장한 침묵의 나선이론은 ([[:Spiral of Silence]])미디어가 여론 형성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 이론의 요지는 여론의 형성 되는 과정에서 소수의 의견이 다수의 의견에 밀리는 상황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였는데, | ||
Line 76: | Line 74: | ||
위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커뮤니케이션 학문은 심리학, 사회학 등의 다양한 학제에서 공통적으로 연구되면서 발전하였다. 여기서 언급은 하지 않지만, 매스미디어의 연구 외의 광의 커뮤니케이션 학문은 이외에도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역사학 등의 학문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 위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커뮤니케이션 학문은 심리학, 사회학 등의 다양한 학제에서 공통적으로 연구되면서 발전하였다. 여기서 언급은 하지 않지만, 매스미디어의 연구 외의 광의 커뮤니케이션 학문은 이외에도 경영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역사학 등의 학문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 ||
- | ==== 다른 관점에서 보는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 ==== | + | |
+ | ====== 다른 관점에서 보는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 | ||
위에서 언급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흐름은 대략적으로 매스미디어와 관련이 깊다.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 | 위에서 언급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흐름은 대략적으로 매스미디어와 관련이 깊다.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 | ||
아래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학제 밑에 어떤 연구 분야가 있는지를 간단하게나마 짚고 넘어가기 위해서 기술되었다. 크게 보아서 커뮤니케이션 학은 관심 분야의 범위를 기준으로 (1) 내인 커뮤니케이션 (intra-personal communication); | 아래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학제 밑에 어떤 연구 분야가 있는지를 간단하게나마 짚고 넘어가기 위해서 기술되었다. 크게 보아서 커뮤니케이션 학은 관심 분야의 범위를 기준으로 (1) 내인 커뮤니케이션 (intra-personal communication); | ||
- | === 내인 커뮤니케이션 === | + | ===== 내인 커뮤니케이션 |
내인 (infra) 커뮤니케이션이란 (communication) 인간 내부에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혹은 자아의 성립과 유지 등에 관심을 두는 연구 분야이다. 인간 내적인 면을 주로 연구하므로 (사회) 심리학 분야와 연관이 있는 편이다. 혼자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에 어폐가 있을지 모르지만, | 내인 (infra) 커뮤니케이션이란 (communication) 인간 내부에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혹은 자아의 성립과 유지 등에 관심을 두는 연구 분야이다. 인간 내적인 면을 주로 연구하므로 (사회) 심리학 분야와 연관이 있는 편이다. 혼자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에 어폐가 있을지 모르지만, | ||
Line 88: | Line 87: | ||
내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또 다른 분야는 자아노출이다 (self discolosure).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과정에서 자아의 일부에 대한 노출이 일어나는, | 내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또 다른 분야는 자아노출이다 (self discolosure).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과정에서 자아의 일부에 대한 노출이 일어나는, | ||
- | === 대인 커뮤니케이션 === | + | ===== 대인 커뮤니케이션 |
대인 커뮤니케이션이란 말 그대로 대인간 (interpersonal)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주로 일상생활의 환경에서 비공식적으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사회적 행위의 규범과 규칙을 찾고 이해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일상생활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사회적 규범을 찾고 이해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너무 단순하여 큰 의미가 없을 듯 하지만, 이 분야는 가핑클, 고프만 등의 학자의 이론정립과 방법론의 개발로 인해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이 두 학자는 주로 슈츠의 (Schutz)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 대인 커뮤니케이션이란 말 그대로 대인간 (interpersonal)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을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주로 일상생활의 환경에서 비공식적으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사회적 행위의 규범과 규칙을 찾고 이해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일상생활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사회적 규범을 찾고 이해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너무 단순하여 큰 의미가 없을 듯 하지만, 이 분야는 가핑클, 고프만 등의 학자의 이론정립과 방법론의 개발로 인해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이 두 학자는 주로 슈츠의 (Schutz)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 ||
- | === 그룹 커뮤니케이션 === | + | ===== 그룹 커뮤니케이션 |
주로 3-6인의 소규모 그룹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분야이다. 이 분야의 발전은 미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는 전쟁과 관련이 깊다. 2차 대전을 치르면서 수행된 전투 작전 중 일어날 수 있는 명령불복, | 주로 3-6인의 소규모 그룹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분야이다. 이 분야의 발전은 미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는 전쟁과 관련이 깊다. 2차 대전을 치르면서 수행된 전투 작전 중 일어날 수 있는 명령불복, | ||
- | === 조직 커뮤니케이션 === | + | ===== 조직 커뮤니케이션 |
위의 그룹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그룹 간 내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는 반면,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영리적 혹은 비영리적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조직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조직 내부의 하부조직 간의 커뮤니케이션 등이 연구 대상이라고 하겠다. | 위의 그룹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그룹 간 내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는 반면,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영리적 혹은 비영리적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조직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조직 내부의 하부조직 간의 커뮤니케이션 등이 연구 대상이라고 하겠다. | ||
- | === 매스 커뮤니케이션 === | + | ===== 매스 커뮤니케이션 |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 함은 말 그대로 대규모의 -- 매스 (mass) --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구분야를 말한다. 신문, 라디오, 텔레비젼, |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 함은 말 그대로 대규모의 -- 매스 (mass) --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구분야를 말한다. 신문, 라디오, 텔레비젼, | ||
- | === 기타 === | + | ===== 기타 |
이외에도 요즈음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들라고 하면 아마도 (1) 건강커뮤니케이션, | 이외에도 요즈음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들라고 하면 아마도 (1) 건강커뮤니케이션, | ||
- | == 건강 커뮤니케이션 == | + | ==== 건강 커뮤니케이션 |
건강커뮤니케이션은 (health communication)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이나 사회적 행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의사-환자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환자의 자발적인 순종 (compliance), | 건강커뮤니케이션은 (health communication)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이나 사회적 행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의사-환자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환자의 자발적인 순종 (compliance), | ||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 |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 | ||
컴퓨터의 등장, 특히 인터넷의 등장을 시작으로 현재의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발전까지, | 컴퓨터의 등장, 특히 인터넷의 등장을 시작으로 현재의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발전까지, | ||
- |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 | + |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
- | ==== 이론 ==== | + | ===== 이론 |
이글을 읽는 독자는 아마도 이론 수업을 먼저 접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래는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흔히 듣는 이론들을 나열해 본것이다. | 이글을 읽는 독자는 아마도 이론 수업을 먼저 접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래는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흔히 듣는 이론들을 나열해 본것이다. | ||
Line 180: | Line 179: | ||
" | " | ||
- | ==== 연역과 귀납 ==== | + | ===== 연역과 귀납 |
이 절에서는 본격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전에 이론 자체에 대한 언급을 하고자 한다. 사실, 위의 남성, 여성 의 수학 능력의 차이에 관한 예는 (1) 필자가 애초에 이 성간의 수학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을 하였기에 가능하였거나, | 이 절에서는 본격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전에 이론 자체에 대한 언급을 하고자 한다. 사실, 위의 남성, 여성 의 수학 능력의 차이에 관한 예는 (1) 필자가 애초에 이 성간의 수학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을 하였기에 가능하였거나, | ||
Line 204: | Line 203: | ||
과학은 위의 두 과정을 거치면서 끊임 없는 진리 추구를 한다. 이 두 과정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보완적인 것이다. | 과학은 위의 두 과정을 거치면서 끊임 없는 진리 추구를 한다. 이 두 과정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보완적인 것이다. | ||
- | ==== 4 가지 종류의 접근방법, | + | ===== 4 가지 종류의 접근방법, |
필자는 이 장의 첫 머리에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관련된 수 많은 이론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론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필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모든 이론에 전문가가 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이 절에서는 수 많은 이론을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보다는 이론들 또한 크게 보아서 4가의의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 필자는 이 장의 첫 머리에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관련된 수 많은 이론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론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필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모든 이론에 전문가가 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이 절에서는 수 많은 이론을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보다는 이론들 또한 크게 보아서 4가의의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 ||
Line 219: | Line 218: | ||
이를 위해서 이 세가지 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세 가지 요소간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사회현상이나 사물을(objects) 보는 관점이 달라지게 된다. | 이를 위해서 이 세가지 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세 가지 요소간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사회현상이나 사물을(objects) 보는 관점이 달라지게 된다. | ||
- | === 접합중심적 접근 (Conjunctive-based approach) === | + | ==== 접합중심적 접근 (Conjunctive-based approach) |
우선, 인간의 세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는 틀이 제공하는 일종의 법칙을 발견해 내는 것에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법칙을 제공하는 주체가 국가, 사회가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일 수도 있고, 혹은 사람의 내성일 (characteristics 혹은 attributes) 수도 있다. 전자는 사회와 사람의 관계에서 사회에 더 무게를 두고 사회현상을 보는 관점이다. " | 우선, 인간의 세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는 틀이 제공하는 일종의 법칙을 발견해 내는 것에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법칙을 제공하는 주체가 국가, 사회가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일 수도 있고, 혹은 사람의 내성일 (characteristics 혹은 attributes) 수도 있다. 전자는 사회와 사람의 관계에서 사회에 더 무게를 두고 사회현상을 보는 관점이다. " | ||
Line 240: | Line 239: | ||
세가지 이론적인 접근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따라서 매우 위험하게) 설명을 하였는데, | 세가지 이론적인 접근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따라서 매우 위험하게) 설명을 하였는데, | ||
- | === 특성중심적 접근 (Attributes-based approach) === | + | ==== 특성중심적 접근 (Attributes-based approach) |
사회학적인 이론을 형성하는 또 다른 관점은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관점이다. 이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의 자연과학의 이론이 발전하는 형식과 유사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 사회학적인 이론을 형성하는 또 다른 관점은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관점이다. 이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의 자연과학의 이론이 발전하는 형식과 유사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 ||
Line 372: | Line 371: | ||
다양한 이론을 접하면서 각각의 이론의 내용만을 이해하고 암기하려 하는 것은 마치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고 이를 일일히 기록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전체적인 그림에 대한 이해가 앞선다면 처음 접하는 이론이라도 그 이론이 세상을 보는 관점과 이론관 관련될 수 있는 연구 방법들, 그리고 그 이론이 가지는 한계점 등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을 듯 하다. | 다양한 이론을 접하면서 각각의 이론의 내용만을 이해하고 암기하려 하는 것은 마치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고 이를 일일히 기록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전체적인 그림에 대한 이해가 앞선다면 처음 접하는 이론이라도 그 이론이 세상을 보는 관점과 이론관 관련될 수 있는 연구 방법들, 그리고 그 이론이 가지는 한계점 등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을 듯 하다. | ||
- | ===== 커뮤니케이션 연구문제 제기와 가설 ===== | + | ====== 커뮤니케이션 연구문제 제기와 가설 |
- | ==== 연구문제 Research Question ==== | + | ===== 연구문제 Research Question |
앞에서 언급하였다시피 대부분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문제는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물음으로 표현된다. " | 앞에서 언급하였다시피 대부분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문제는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물음으로 표현된다. " | ||
- | ==== 효과적인 연구문제 제기 ==== | + | ===== 효과적인 연구문제 제기 |
* 연구문제는 명확하게 서술되어야 하며 대개는 의문형의 형태를 갖는다. | * 연구문제는 명확하게 서술되어야 하며 대개는 의문형의 형태를 갖는다. | ||
* 예1) 미디어 교육은 게임중독에 효과적일까? | * 예1) 미디어 교육은 게임중독에 효과적일까? | ||
Line 425: | Line 424: | ||
> [ ] 와 [ ] 는 어떤 관계를 갖는가? | > [ ] 와 [ ] 는 어떤 관계를 갖는가? | ||
- | ==== 가설 ==== | + | ===== 가설 |
연구문제와는 약간 다르지만 비슷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가설이 (hypothesis) 있다. 연구문제는 두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질문으로 만들어지지만, | 연구문제와는 약간 다르지만 비슷한 성격을 갖는 것으로 가설이 (hypothesis) 있다. 연구문제는 두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질문으로 만들어지지만, | ||
Line 454: | Line 453: | ||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가설이 이론 자체의 시비를 결정하지는 못한다는 점이다. 가설의 검증이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이 되어도 이론 자체에 논리적인 문제가 있다면, 가설은 잘못된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가설이 이론 자체의 시비를 결정하지는 못한다는 점이다. 가설의 검증이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이 되어도 이론 자체에 논리적인 문제가 있다면, 가설은 잘못된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 ||
- | ==== 가설의 요건 ==== | + | ===== 가설의 요건 |
- | 가설은 반드시 **두 가지 이상의 [[:Variable|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에 대한 선언 혹은 예측**이어야 한다. | + | 가설은 반드시 **두 가지 이상의 [[:Variables|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에 대한 선언 혹은 예측**이어야 한다. |
-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차이 (difference), | +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fc #ff0000>차이 (difference), |
> 가설1]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1]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Line 467: | Line 466: | ||
* 가설은 명확하고 문법적인 오류가 없는 문장이어야 한다. | * 가설은 명확하고 문법적인 오류가 없는 문장이어야 한다. | ||
- | ==== 가설작성 ==== | + | ===== 가설작성 |
- | 가설 예1 | + | ==== 차이 |
+ | |||
+ | 예1 | ||
* < | * < | ||
* 을 많이 <혹은 적게> 가진, 에 노출 <혹은 비노출> | * 을 많이 <혹은 적게> 가진, 에 노출 <혹은 비노출> | ||
Line 492: | Line 493: | ||
위의 가설은 우선, 두 가지의 변인을 사용하며 이 변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선언한다: | 위의 가설은 우선, 두 가지의 변인을 사용하며 이 변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선언한다: | ||
+ | ==== 연관가설 ==== | ||
+ | 예, | ||
+ | * 통학거리와 학생의 학문적성취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
+ | * 두 변인 | ||
+ | * 변인의 측정 | ||
+ | * 관계 | ||
- | ===== 연구의 설계 ===== | + | ====== 연구의 설계 |
먼저 장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의 관계, 조사방법에서의 연구문제의 설정과 가설의 설정 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연구 보고서 혹은 논문이 만들어지는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 봄으로써, | 먼저 장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의 관계, 조사방법에서의 연구문제의 설정과 가설의 설정 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연구 보고서 혹은 논문이 만들어지는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 봄으로써, | ||
- | ==== 연구문제 주제의 설정 ==== | + | ===== 연구문제 주제의 설정 |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통한 보고서의 작성을 생각하면, |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통한 보고서의 작성을 생각하면, | ||
아래는 필자의 머릿 속에 떠오른 연구문제를 적어 놓은 것이다. | 아래는 필자의 머릿 속에 떠오른 연구문제를 적어 놓은 것이다. | ||
Line 504: | Line 511: | ||
필자의 관심은 인터넷 저널리즘의 발달이 종이신문 산업에 영향을 주었고, 이로 인해 신문사의 조직, 구조 등이 변화할 것이라는 것이다. | 필자의 관심은 인터넷 저널리즘의 발달이 종이신문 산업에 영향을 주었고, 이로 인해 신문사의 조직, 구조 등이 변화할 것이라는 것이다. | ||
- | ==== 선행연구 조사 ==== | + | ===== 선행연구 조사 |
- | === 도서관 이용 (Library) === | + | ==== 도서관 이용 (Library) |
아주대학교의 도서관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다. 그러나, 대부분 대학의 도서관은 비슷한 형식의 GUI를 (Graphic User Interface) 가지므로 다른 연구기관이나 학교의 도석관 사용에도 해당될 것이다. 대학교 도서관의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 | 아주대학교의 도서관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다. 그러나, 대부분 대학의 도서관은 비슷한 형식의 GUI를 (Graphic User Interface) 가지므로 다른 연구기관이나 학교의 도석관 사용에도 해당될 것이다. 대학교 도서관의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 | ||
Line 576: | Line 583: | ||
--- | --- | ||
- | === 학술 논문의 이용 (db의 소개) === | + | ==== 학술 논문의 이용 (db의 소개) |
Sage 출판사의 index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든다. 필자의 관심은 인터넷 기술과 신문산업의 변화이므로 아래의 key word를 사용하여 관련 논문이 있는가를 검색하여 본다. | Sage 출판사의 index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든다. 필자의 관심은 인터넷 기술과 신문산업의 변화이므로 아래의 key word를 사용하여 관련 논문이 있는가를 검색하여 본다. | ||
Line 648: | Line 655: | ||
물론 선행연구 조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수한 논문을. . . 읽는 것이다!!!!!!! | 물론 선행연구 조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수한 논문을. . . 읽는 것이다!!!!!!! | ||
- | === 다른 예: mobile phone and social network === | + | ==== 다른 예: mobile phone and social network |
- | ==== 1차 ==== | + | === 1차 === |
필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휴대전화) 이다. 좀 더 말하자면 사회적 관계의 유지, 보수에 휴대전화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과한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서 Sage 출판사의 Db를 검색해 보려고 한다. | 필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휴대전화) 이다. 좀 더 말하자면 사회적 관계의 유지, 보수에 휴대전화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과한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서 Sage 출판사의 Db를 검색해 보려고 한다. | ||
Line 678: | Line 685: | ||
따라서, 필자가 읽으려고 살펴보아야 하는 아티클은 2,3,5,7,10 의 아티클이고 6번의 경우도 참조하도록 한다. | 따라서, 필자가 읽으려고 살펴보아야 하는 아티클은 2,3,5,7,10 의 아티클이고 6번의 경우도 참조하도록 한다. | ||
- | ==== 2차 ==== | + | === 2차 === |
- Arminen, I. (2005). Sequential order and sequence structure: the case of incommensurable studies on mobile phone calls. __Discourse Studies, 7__(6), 649-662. | - Arminen, I. (2005). Sequential order and sequence structure: the case of incommensurable studies on mobile phone calls. __Discourse Studies, 7__(6), 649-662. | ||
- Caronia, L., & Caron, A. H. (2004). Constructing a Specific Culture: Young People' | - Caronia, L., & Caron, A. H. (2004). Constructing a Specific Culture: Young People' | ||
Line 693: | Line 700: | ||
그러나 학위논문 외에도 연구자는 관련된 분야의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각 학술지마다 권장하는 논문작성 규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 규격에 맞게 논문을 작성하여 투고하여야 한다. 문제는 같은 내용의 논문이라도 작성형식이 다르다면 그 형식에 맞도록 논문의 형식을 고쳐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절에서는 이에 대한 소개를 하려고 한다. | 그러나 학위논문 외에도 연구자는 관련된 분야의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각 학술지마다 권장하는 논문작성 규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 규격에 맞게 논문을 작성하여 투고하여야 한다. 문제는 같은 내용의 논문이라도 작성형식이 다르다면 그 형식에 맞도록 논문의 형식을 고쳐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절에서는 이에 대한 소개를 하려고 한다. | ||
- | [Tex] (" | + | [Tex] (" |
==== Z39.50 Software ==== | ==== Z39.50 Software ==== | ||
Line 702: | Line 709: | ||
* [[http:// | * [[http:// | ||
- | === APA style 등의 참고문헌 작성 원칙 === | + | ==== APA style 등의 참고문헌 작성 원칙 |
- | ==== 연구문제의 재 설정 ==== | + | ===== 연구문제의 재 설정 |
이 전 장에서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가 중요한 이유는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과학적인 지식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중복된 연구 주제에 대한 연구는 생산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자신의 연구가 다른 연구들과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연구의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한 지식없이 자신의 연구가 그 분야의 전부인 듯한 논문의 전개 등은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과학적 지식의 축적을 비효율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처음에 가졌던 연구주제, | 이 전 장에서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가 중요한 이유는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과학적인 지식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중복된 연구 주제에 대한 연구는 생산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자신의 연구가 다른 연구들과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연구의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한 지식없이 자신의 연구가 그 분야의 전부인 듯한 논문의 전개 등은 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과학적 지식의 축적을 비효율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처음에 가졌던 연구주제, | ||
Line 713: | Line 720: | ||
연구문제를 가다듬는 것외에도 연구분야에 대한 파악이 중요한 이유는 관련된 이론에 대한 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연구를 갖 시작하는 경우에 관심분야와 관련된 이론들을 모두 파악하고 있지는 않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관련이론에 대한 설명과 선행연구 (물론, 그 연구들도 선행연구에 대한 언급을 한다!)에 대한 토론을 제시하므로 이를 파악하는 한편, 선행 연구들이 논리적으로 이론들과 잘 조화가 되는지 살필 수 있다. | 연구문제를 가다듬는 것외에도 연구분야에 대한 파악이 중요한 이유는 관련된 이론에 대한 정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연구를 갖 시작하는 경우에 관심분야와 관련된 이론들을 모두 파악하고 있지는 않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관련이론에 대한 설명과 선행연구 (물론, 그 연구들도 선행연구에 대한 언급을 한다!)에 대한 토론을 제시하므로 이를 파악하는 한편, 선행 연구들이 논리적으로 이론들과 잘 조화가 되는지 살필 수 있다. | ||
- | ==== 연구 가설의 설정 ==== | + | ===== 연구 가설의 설정 |
가설에 대한 언급은 4장의 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에서 다루었다. | 가설에 대한 언급은 4장의 연구문제와 가설의 설정에서 다루었다. | ||
- | ==== 데이터 수집 설계 (연구방법의 구체화) ==== | + | ===== 데이터 수집 설계 (연구방법의 구체화) |
가설은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작업의 시작이므로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 가설은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작업의 시작이므로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 ||
- | ==== 데이터 수집 ==== | + | ===== 데이터 수집 |
- | ==== 데이터 분석 ==== | + | ===== 데이터 분석 |
- | ==== 분석 정리 (discussion and implication) ==== | + | ===== 분석 정리 (discussion and implication) |
- | ==== 연구 성과물 작성 ==== | + | ===== 연구 성과물 작성 |
===== 기초에 대한 이해 ===== | ===== 기초에 대한 이해 ===== | ||
====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서의 개념화 (conceptualization) ==== | ====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서의 개념화 (conceptualization) ==== | ||
Line 730: | Line 737: | ||
[[Variables Identification]]: | [[Variables Identification]]: | ||
- | ====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것들 ==== | + | =====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것들 |
==== 커뮤니케이션 연구 작성 ==== | ==== 커뮤니케이션 연구 작성 ==== | ||
===== 연구설계 ===== | ===== 연구설계 =====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1584941745.txt.gz · Last modified: 2020/03/23 14:35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