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ices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indices [2020/05/05 22:48] – hkimscil | indices [2020/05/06 18:08] (current) – hkimscil | ||
---|---|---|---|
Line 23: | Line 23: | ||
| O | | | | O | | | ||
- | 지수를 만드는 것은 (구성하는 것은) 개념화 과정에서 여러 측면을 살펴보는 것과 같다. 여러가지 indicator들을 구성하고 몇 개나 선택이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 | + | 지수를 만드는 것은 (구성하는 것은) 개념화 과정에서 여러 측면을 살펴보는 것과 같다. 여러가지 indicator들을 구성하고 몇 개나 선택이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 |
^ 질문 | ^ 질문 | ||
Line 34: | Line 34: | ||
| 기독교성(christianity) | | 기독교성(christianity) | ||
- | 척도는 아래 질문들이 사람들의 종교성을 알아내는데 역할을 달리한다고 보고 순차적으로 정리를 한후, 사람들에게서 얻는 답의 패턴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예를 보인것이다. 이를 척도 (scale)이라고 한다. | + | <fc # |
^ 질문 | ^ 질문 | ||
Line 44: | Line 44: | ||
| 나는 하나님이 있다고 믿는다 | | 나는 하나님이 있다고 믿는다 | ||
| 기독교성(christianity) | | 기독교성(christianity) | ||
+ | |||
+ | 지수를 만드는 과정으로는 | ||
+ | * 개념에 해당하는 문항을 만들기 | ||
+ | * 문항에 대한 경험적 검사 가능성 조사 | ||
+ | * 점수화 | ||
+ | * 타당도 검사 | ||
+ | |||
+ | __개념에 해당하는 문항을 만들기__ | ||
+ | * 액면타당도를 살핀다 (face validity) | ||
+ | * 질문은 단일차원성을 가져야 한다 | ||
+ | * 기독교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매주 교회에 가야함에 착안하여 | ||
+ | * 나는 어디 한번 발 붙히면 꾸준히 하는 편이다 등의 질문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이는 내가 애초에 묻고자하는 기독교성을 묻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기독교성과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 ||
+ | * 일반성 -- 구체성을 아울러야 한다. (위의 기독교성을 묻는 질문은 일반성에 치우친 면이 있다). 구체적인 면을 가지려면, | ||
+ | * 나는 찬송가를 많이 알아서 찬송 때 찬송책을 보지 않는다 | ||
+ | * 나는 주기도문을 완전히 외워서 기도를 주도할 수 있다 | ||
+ | * 나는 교회행사의 주요한 날짜들을 외워두고 있다 등등 | ||
+ | |||
+ | __문항에 대한 경험적 검사 가능성 조사__ | ||
+ | * 이원관계: | ||
+ | * UN에 대한 재정적 지원에 대한 의견 | ||
+ | * UN에 대한 군사적 지원에 대한 의견 | ||
+ | * 너무 강한 관계는 똑같은 것을 물어보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나중에 분석에 문제가 된다 (autocorrelations, | ||
+ | |||
+ | __점수화__ | ||
+ | __타당도 검사__ | ||
+ | * 문항분석: | ||
+ | |||
indices.1588686496.txt.gz · Last modified: 2020/05/05 22:48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