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ed_theor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grounded_theory [2016/11/17 09:40] – created hkimscil | grounded_theory [2022/05/16 08:09] (current) –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 Grounded Theory ====== | ====== Grounded Theory ====== | ||
< | < | ||
- | 실제적인 데이터를 수집한 후 범주와 코딩을 통한 이론을 도출 | + | * 실제적인 데이터를 수집한 후 범주와 코딩을 통한 이론을 도출 |
- | 자료대화형 이론 | + | |
- | 사회현상의 과정을 있는 그대로 탐색하고 서술하여 (ethnographic) | + | Glaser, Barney and Strauss, Anselm 두 학자가 1967년에 주장한 |
- | 이를 자료화(data)하고, 개념에 따라서 범주화하며 | + | |
- | 핵심적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사회화과정으로 축약(이론화) 하는 것을 말함 | + | |
- | see [[https:// | + | * 사회현상의 과정을 있는 그대로 탐색하고 서술하여 (ethnographic) 이를 자료화(data)하고, |
+ | * 질적인 방법론으로 알려져 있음 | ||
+ | 예 -- 대학생의 일상적 생활에서의 미래에 대한 생각 | ||
+ | * interview, observation 등의 | ||
+ | * 데이터를 조직화하면서 (organizing) 일관된 테마 (theme, ideas, concepts 등등) 도출 | ||
+ | * 데이터에서 도출된 여러가지 테마들에서 일관성이 보이는지 더 큰 테마로 (theme) 조직화할 수 있는지 | ||
+ | * 일관성이 유도하는 이론이 성립하는지 | ||
+ | * 이론이 성립하는지 가설을 만들어 테스트하는 계획 | ||
+ | | ||
+ | |||
+ | see [[https:// | ||
+ | |||
+ | {{tag> |
grounded_theory.1479345044.txt.gz · Last modified: 2016/11/17 09:40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