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t:2015:group_02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 |||
c:mt:2015:group_02 [2016/07/01 14:55] – ↷ Page moved from class:mt:2015:group_02 to c:mt:2015:group_02 hkimscil | c:mt:2015:group_02 [2016/07/01 15:05] (current)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 | {{:class: | + | {{c: |
Line 73: | Line 73: | ||
논문 속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인서트 컷 기법의 기준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상 미학적원리를 기본으로 실제 영상작품 자극물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의 자극물 선정은 실험 대상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세 파트의 영상, 각 5개씩 총 15개의 자극물로 제작하여 독립적인 인서트 화면의 영상 시퀀스 장면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 대상물은 각각 실험자에게 선호도 및 감정의 반응정도를 측정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서트 컷은 연결된 장면과 장면사이에 삽입된 연결 화면을 말한다. 인서트 컷은 직접 관련 없는 컷을 삽입하여 와이프와 같은 효과나 비유, 연상표현 등이 가능하며 세부 묘사를 통해 어떤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인서트 컷 편집기법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인서트 컷을 이용해 실험한 애니메이션의 종류들은 < | 논문 속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인서트 컷 기법의 기준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상 미학적원리를 기본으로 실제 영상작품 자극물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의 자극물 선정은 실험 대상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세 파트의 영상, 각 5개씩 총 15개의 자극물로 제작하여 독립적인 인서트 화면의 영상 시퀀스 장면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 대상물은 각각 실험자에게 선호도 및 감정의 반응정도를 측정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서트 컷은 연결된 장면과 장면사이에 삽입된 연결 화면을 말한다. 인서트 컷은 직접 관련 없는 컷을 삽입하여 와이프와 같은 효과나 비유, 연상표현 등이 가능하며 세부 묘사를 통해 어떤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인서트 컷 편집기법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인서트 컷을 이용해 실험한 애니메이션의 종류들은 < | ||
- | {{:class: | + | {{c: |
실험방법으로는 15개의 애니메이션 자극물들을 보여주고 실험샘플들을 수집해 감정적 평가척도 9개(화나다, | 실험방법으로는 15개의 애니메이션 자극물들을 보여주고 실험샘플들을 수집해 감정적 평가척도 9개(화나다, | ||
- | {{:class: | + | {{c: |
인서트 기법의 영향은 주제와 연상, 공간전환과 관계적화면 순으로 전체적 감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정 영향력에 대한 평균값을 분석해보면 인서트 컷이 없는 샘플보다 인서트 컷을 사용한 샘플이 감정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실험에 사용된 4개의 인서트 컷 구성요소 중에서 암시와 상징에 관련된 요소는 행복하다, | 인서트 기법의 영향은 주제와 연상, 공간전환과 관계적화면 순으로 전체적 감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정 영향력에 대한 평균값을 분석해보면 인서트 컷이 없는 샘플보다 인서트 컷을 사용한 샘플이 감정요소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실험에 사용된 4개의 인서트 컷 구성요소 중에서 암시와 상징에 관련된 요소는 행복하다, | ||
Line 96: | Line 96: | ||
한국 모델에 대한 전문성, 신뢰성, 매력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하니안(Ohanian, | 한국 모델에 대한 전문성, 신뢰성, 매력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하니안(Ohanian, | ||
- | {{:class: | + | {{c: |
한국 매스 미디어에 대한 노출, 한국적 가치관의 존중 정도와 서구적 가치관의 존중정도가 소비자들의 백인 모델에 대한 매력도, 전문성, 그리고 신뢰도와 어떠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혀내기 위하여, LISREL 8을 이용한 구조 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다. 그로인해 매스미디어에 대한 노출과 한국인 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한 결과와 미디어가 대중들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또한 대중들의 가치관이 광고모델 선호도에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친다는 것을 밝혔고 매스미디어가 간접적으로 소비자들의 광고모델 선호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한국 매스 미디어에 대한 노출, 한국적 가치관의 존중 정도와 서구적 가치관의 존중정도가 소비자들의 백인 모델에 대한 매력도, 전문성, 그리고 신뢰도와 어떠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혀내기 위하여, LISREL 8을 이용한 구조 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다. 그로인해 매스미디어에 대한 노출과 한국인 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한 결과와 미디어가 대중들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또한 대중들의 가치관이 광고모델 선호도에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친다는 것을 밝혔고 매스미디어가 간접적으로 소비자들의 광고모델 선호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
Line 143: | Line 143: | ||
- 참여 집단별로 기존 스키마 차이와 뉴스 프레임 차이를 중심으로 스키마 일치, 불일치 상황을 만들고 이들이 프레이밍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것 | - 참여 집단별로 기존 스키마 차이와 뉴스 프레임 차이를 중심으로 스키마 일치, 불일치 상황을 만들고 이들이 프레이밍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것 | ||
- | {{:class: | + | {{c: |
- 연구문제 | - 연구문제 | ||
Line 236: | Line 236: | ||
조절초점은 향상초점, | 조절초점은 향상초점, | ||
- | {{:class: | + | {{c: |
- 제품의 유형 | - 제품의 유형 | ||
제품의 유형(실용재, | 제품의 유형(실용재, | ||
- | {{:class: | + | {{c: |
- 본 연구의 논의사항 | - 본 연구의 논의사항 | ||
Line 250: | Line 250: | ||
가설 5, 6: 메시지프레이밍유형에따른광고태도 or 브랜드 태도는제품유형에따라다르게나타날것이다 | 가설 5, 6: 메시지프레이밍유형에따른광고태도 or 브랜드 태도는제품유형에따라다르게나타날것이다 | ||
- | {{:class: | + | {{c: |
- 가설검증결과 | - 가설검증결과 | ||
Line 256: | Line 256: | ||
메세지프레이밍은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메시지보다 부정적 메시지에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가 더 높아 가설 1, 2 가 지지 되었다. | 메세지프레이밍은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메시지보다 부정적 메시지에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가 더 높아 가설 1, 2 가 지지 되었다. | ||
- | {{:class: | + | {{c: |
2)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2)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
- | {{:class: | + | {{c: |
향상초점 성향 응답자들은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광고에 더욱 호의적, 방어초점 응답자들은 그 반대. 가설 3, 4 지지 => 조절초점의 적합성이 프레이밍에 의한 설득효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 | 향상초점 성향 응답자들은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광고에 더욱 호의적, 방어초점 응답자들은 그 반대. 가설 3, 4 지지 => 조절초점의 적합성이 프레이밍에 의한 설득효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 | ||
Line 289: | Line 289: | ||
일반적으로 고정관념이란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된 특정 객체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이미지란 특정 객체에 대한 순간적인 영상 또는 심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국가에 대한 고정관념은 성인의 경우 형성되어 있을지는 모르지만, | 일반적으로 고정관념이란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된 특정 객체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이미지란 특정 객체에 대한 순간적인 영상 또는 심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국가에 대한 고정관념은 성인의 경우 형성되어 있을지는 모르지만, | ||
- | {{:class: | + | {{c: |
결론은 | 결론은 | ||
Line 584: | Line 584: | ||
| | ||
- | {{:class: | + | {{c: |
모집된 피험자들은 자신이 직접 신청한 시간대에 맞춰오는 순서대로 4개 실험집단(고관여․저관여× 댓글의 찬성․반대)과 2개의 통제집단(고관여ㆍ저관여)에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그 결과, 고관여 이슈에 대해 찬성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6명, 고관여 이슈에 대해 반대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9명, 저관여 이슈에 대해 찬성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3명, 그리고 저관여 이슈에 대해 반대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2명이었다. 더불어, 통제집단으로 댓글을 삭제한 채 고관여 이슈에 대한 뉴스기사만 접한집단은 22명, 그리고 저관여 이슈에 대한 뉴스기사만 접한 집단은21명이었다. | 모집된 피험자들은 자신이 직접 신청한 시간대에 맞춰오는 순서대로 4개 실험집단(고관여․저관여× 댓글의 찬성․반대)과 2개의 통제집단(고관여ㆍ저관여)에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그 결과, 고관여 이슈에 대해 찬성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6명, 고관여 이슈에 대해 반대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9명, 저관여 이슈에 대해 찬성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3명, 그리고 저관여 이슈에 대해 반대의 댓글들이 달린 뉴스기사를 본 집단은 52명이었다. 더불어, 통제집단으로 댓글을 삭제한 채 고관여 이슈에 대한 뉴스기사만 접한집단은 22명, 그리고 저관여 이슈에 대한 뉴스기사만 접한 집단은21명이었다. | ||
- | {{:class: | + | {{c: |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관여 상황에서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견해와 사전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자의 사전의견이 크게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시된 뉴스기사가 다루는 주제의 특성을 고려하면, |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관여 상황에서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견해와 사전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자의 사전의견이 크게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시된 뉴스기사가 다루는 주제의 특성을 고려하면, | ||
- | {{:class: | + | {{c: |
| | ||
Line 619: | Line 619: | ||
연구가설1 : 검색엔진의 공신력이 낮은 경우보다 공신력이 높은 경우에 이용자들의 검색결과페이지 사전검토 시간은 길어질 것이다. | 연구가설1 : 검색엔진의 공신력이 낮은 경우보다 공신력이 높은 경우에 이용자들의 검색결과페이지 사전검토 시간은 길어질 것이다. | ||
- | {{:class: | + | {{c: |
< | < | ||
- | {{:class: | + | {{c: |
< | < | ||
Line 633: | Line 633: | ||
연구가설2-2 : 검색엔진의 정보추천순위가 선택된 정보의 웹페이지를 읽는 시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색엔진의 공신력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클 것이다. | 연구가설2-2 : 검색엔진의 정보추천순위가 선택된 정보의 웹페이지를 읽는 시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색엔진의 공신력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클 것이다. | ||
- | {{:class: | + | {{c: |
< | < | ||
- | {{:class: | + | {{c: |
< | < | ||
Line 649: | Line 649: | ||
연구가설3-2 : 검색엔진의 정보추천순위가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색엔진의 공신력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클 것이다. | 연구가설3-2 : 검색엔진의 정보추천순위가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색엔진의 공신력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클 것이다. | ||
- | {{:class: | + | {{c: |
< | < | ||
Line 692: | Line 692: | ||
| | ||
- | {{:class: | + | {{c: |
이 모형은 특정 의제에 대해 가치평가적인 의미를 함축한 특정 언론의 미디어 유행어가 1차적으로 수용자에게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선도 미디어와 추종 미디어 간의 위계 관계에 의해 다른 미디어를 통해 2차적으로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수용자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2단계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가정하고 있다. 본 모형은 매스미디어의 메시지가 의견 지도자(opinion leader)에게로 흐른 다음 다시 일반 사람들에게 흘러간다는 카츠와 라자스펠트의 2단계 흐름 모형처럼 미디어 간에도 선도 미디어와 추종 미디어의 위계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미디어 유행어와 같은 은유 혹은 비유의 언어적 수사 장치 역시 수용자의 의견 혹은 여론에 특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 이 모형은 특정 의제에 대해 가치평가적인 의미를 함축한 특정 언론의 미디어 유행어가 1차적으로 수용자에게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선도 미디어와 추종 미디어 간의 위계 관계에 의해 다른 미디어를 통해 2차적으로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수용자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2단계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가정하고 있다. 본 모형은 매스미디어의 메시지가 의견 지도자(opinion leader)에게로 흐른 다음 다시 일반 사람들에게 흘러간다는 카츠와 라자스펠트의 2단계 흐름 모형처럼 미디어 간에도 선도 미디어와 추종 미디어의 위계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미디어 유행어와 같은 은유 혹은 비유의 언어적 수사 장치 역시 수용자의 의견 혹은 여론에 특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
c/mt/2015/group_02.1467354340.txt.gz · Last modified: 2016/07/01 14:55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