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s:2016:group_17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c:ms:2016:group_17 [2016/07/01 14:53] – ↷ Page moved from class:ms:2016:group_17 to c:ms:2016:group_17 hkimscilc:ms:2016:group_17 [2016/07/01 15:03] (current)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hkimscil
Line 10: Line 10: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fs large>201621072 백종철[[:class:ms:2016:group_17:(hiseoul010)]]</fs>+<fs large>201621072 백종철[[c:ms:2016:group_17:hiseoul010]]</fs>
  
 안녕하세요 미디어학과 백종철이라고합니다. 저의취미는 음악감상이며 관심분야는 데이터를 통해 여러가지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쪽으로 이학과에 올해들어와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스쪽에 관심있기 때문에 그방향으로 직업을 가지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미디어학과 백종철이라고합니다. 저의취미는 음악감상이며 관심분야는 데이터를 통해 여러가지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쪽으로 이학과에 올해들어와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스쪽에 관심있기 때문에 그방향으로 직업을 가지고 싶습니다
Line 246: Line 246:
 상명대학교 대학원 : 경영공학과 경영공학전공 강태희 교수의 논문 < 웹 검색트래픽을 활용한 스마트폰 제품 판매 예측에 대한 연구 >에서 실제 스마트폰의 교체 주기는 스마트폰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 기간 등 다양한 변수 때문에 이보다 훨씬 짧을 것이라고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가설을 설정해 보았다. 상명대학교 대학원 : 경영공학과 경영공학전공 강태희 교수의 논문 < 웹 검색트래픽을 활용한 스마트폰 제품 판매 예측에 대한 연구 >에서 실제 스마트폰의 교체 주기는 스마트폰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 기간 등 다양한 변수 때문에 이보다 훨씬 짧을 것이라고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가설을 설정해 보았다.
  
-{{:class:ms:2016:2016-05-18_15-36-44.jpg?520|}}+{{c:ms:2016:2016-05-18_15-36-44.jpg?520|}}
  
 Regression Regression
Line 254: Line 254:
 아주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강영모의 ‘스마트폰의 수요 예측과 수요 확산 의 영향 요인’ 석사학위 논문을 살펴보면 스마트폰의 사용현황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자료가 있다. 그 중 관심사에 관한 가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자료는 아래와 같다. 아주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강영모의 ‘스마트폰의 수요 예측과 수요 확산 의 영향 요인’ 석사학위 논문을 살펴보면 스마트폰의 사용현황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자료가 있다. 그 중 관심사에 관한 가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자료는 아래와 같다.
  
-{{:class:ms:2016:2016-05-18_15-31-03.jpg?520|}}+{{c:ms:2016:2016-05-18_15-31-03.jpg?520|}}
  
 위의 제시한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채택하는 요인을 기능적 속성으로 두고 ‘스마트폰의 기능적 속성(서비스 기반, 장비 기반, 기술수용모형 기반 속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와 ‘스마트폰의 지각된 용이 성과 유용성은 사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했다. 결과적으로 3 가지 기능적 속성 중 서비스 기반이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채택되었고 나머지 두 속성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인을 스마트폰의 서비스 기반 기능적 속성 중 무선 인터넷 속성으로 두고 Regression 가 설을 세웠다. 위의 제시한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채택하는 요인을 기능적 속성으로 두고 ‘스마트폰의 기능적 속성(서비스 기반, 장비 기반, 기술수용모형 기반 속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와 ‘스마트폰의 지각된 용이 성과 유용성은 사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했다. 결과적으로 3 가지 기능적 속성 중 서비스 기반이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채택되었고 나머지 두 속성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인을 스마트폰의 서비스 기반 기능적 속성 중 무선 인터넷 속성으로 두고 Regression 가 설을 세웠다.
Line 274: Line 274:
 *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에 관한 참고자료 *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에 관한 참고자료
  
- {{:class:ms:2016:2016-05-23_01-26-04.jpg?380|}}+ {{c:ms:2016:2016-05-23_01-26-04.jpg?380|}}
  
  
  * 스마트폰 판매량에 관한 참고자료  * 스마트폰 판매량에 관한 참고자료
  
-{{:class:ms:2016:2016-05-23_01-35-04.jpg?450|}}+{{c:ms:2016:2016-05-23_01-35-04.jpg?450|}}
  
 *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가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자의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 *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가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자의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
Line 603: Line 603:
 *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에 관한 참고자료 * 어플리케이션 시장의 규모에 관한 참고자료
  
-{{:class:ms:2016:2016-05-23_01-26-04.jpg?300|}}+{{c:ms:2016:2016-05-23_01-26-04.jpg?300|}}
  
 종속변인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란 주제의 설문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대한 만족도를 얻는다. 종속변인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란 주제의 설문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대한 만족도를 얻는다.
Line 658: Line 658:
 (A : 앱스토어, B : 구글 플레이스토어) (A : 앱스토어, B : 구글 플레이스토어)
  
-{{:class:ms:2016:asd.png?500|}}+{{c:ms:2016:asd.png?500|}}
  
 α = 0.05에서 df = 9 일때의 t critical value = 2.2621 α = 0.05에서 df = 9 일때의 t critical value = 2.2621
Line 714: Line 714:
  3: 2시간 동안 스마트폰 사용 집단)  3: 2시간 동안 스마트폰 사용 집단)
  
-{{:class:ms:2016:aaaaaa.png?600|}}+{{c:ms:2016:aaaaaa.png?600|}}
  
  
Line 751: Line 751:
 피실험자를 성별, 현재 사용중인 스마트폰 사용 기간(1,2,3)으로 분류하여 새 스마트폰 구매 의사를 측정한다. 피실험자를 성별, 현재 사용중인 스마트폰 사용 기간(1,2,3)으로 분류하여 새 스마트폰 구매 의사를 측정한다.
  
-{{:class:ms:2016:aaa.png?400|}}+{{c:ms:2016:aaa.png?400|}}
  
-{{:class:ms:2016:aasdaa.png?400|}}+{{c:ms:2016:aasdaa.png?400|}}
  
-{{:class:ms:2016:aaasdaq.png?400|}}+{{c:ms:2016:aaasdaq.png?400|}}
  
-{{:class:ms:2016:asfqwa.png?300|}}+{{c:ms:2016:asfqwa.png?300|}}
  
 개체-간 효과 검정의 성별 * 기간 항목의 F값이 3.758, 유의확률이 .054로 가설이 성립되지 않는다. 즉 사용중인 스마트폰의 사용 기간과 성별에 따라 새 스마트폰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영가설 채택) 개체-간 효과 검정의 성별 * 기간 항목의 F값이 3.758, 유의확률이 .054로 가설이 성립되지 않는다. 즉 사용중인 스마트폰의 사용 기간과 성별에 따라 새 스마트폰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영가설 채택)
Line 818: Line 818:
 H(1): 스마트폰의 무선 인터넷 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스마트폰의 재구매율에 영향을 끼친다. H(1): 스마트폰의 무선 인터넷 속성에 대한 만족도는 스마트폰의 재구매율에 영향을 끼친다.
  
-{{:class:ms:2016:aaas.png?300|}}         {{:class:ms:2016:asaa.png?400|}}+{{c:ms:2016:aaas.png?300|}}         {{c:ms:2016:asaa.png?400|}}
  
 모형요약표에서 R제곱이 0.338로 모형의 적합도가 높지는 않지만 모형의 타당성이 있으며 분산분석표에서 F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0.023으로 a=0.05보다 작으므로 회귀식은 유의하다. 또한 계수 표를 통해서 회귀식이 Y=0.616X+1.326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H(1)가설을 채택한다. 모형요약표에서 R제곱이 0.338로 모형의 적합도가 높지는 않지만 모형의 타당성이 있으며 분산분석표에서 F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0.023으로 a=0.05보다 작으므로 회귀식은 유의하다. 또한 계수 표를 통해서 회귀식이 Y=0.616X+1.326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H(1)가설을 채택한다.
Line 850: Line 850:
 독립변인: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대한 기능적 속성 가운데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여러 개 있는데 그중 스마트폰 디자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 구매의사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다. 독립변인: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대한 기능적 속성 가운데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여러 개 있는데 그중 스마트폰 디자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 구매의사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다.
  
-{{:class:ms:2016:aasqa.png?380|}}+{{c:ms:2016:aasqa.png?380|}}
  
 종속변인: 독립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스마트폰의 구매의사가 어떻게 되는지 조사한다. 종속변인: 독립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스마트폰의 구매의사가 어떻게 되는지 조사한다.
Line 913: Line 913:
 A: 디자인 B:어플리케이션 A: 디자인 B:어플리케이션
  
-{{:class:ms:2016:asdaz.png?300|}}         {{:class:ms:2016:asdzasa.png?500|}}+{{c:ms:2016:asdaz.png?300|}}         {{c:ms:2016:asdzasa.png?500|}}
  
 r제곱이 0.685으로 68.5%로 스마트폰 구매의사를 설명해주는데 다중회귀식에 의해서 독립변인 A(디자인), B(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모두 스마트폰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디자인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보다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제곱이 0.685으로 68.5%로 스마트폰 구매의사를 설명해주는데 다중회귀식에 의해서 독립변인 A(디자인), B(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모두 스마트폰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디자인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보다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ms/2016/group_17.1467354205.txt.gz · Last modified: 2016/07/01 14:53 (external edit)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