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2016:group_12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 |||
c:ms:2016:group_12 [2016/07/01 15:03]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hkimscil | c:ms:2016:group_12 [2016/07/01 15:06] (current)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hkimscil | ||
---|---|---|---|
Line 113: | Line 113: | ||
6. 오피니언 리더들의 언급과 주장 (사람들의 설문조사 & 실제 언급에 대한 횟수): 실제로 오피니언 리더들이 얼마나 언급 했는지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가장 먼저 트위터의 오피니언 리더를 중심으로 확인한다. 그 방식으로 집단 지성과 ‘빅 데이터’라는 단어가 얼마나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빅 데이터 관련 서적과 논문이 얼마나 많이 출판되고 있는지 조사한다. 또한 그 판매량이 얼만큼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이 얼마나 많이 빅데이터를 언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사람들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서적의 판매량을 통해서 확인해 본다. 아래의 그림은 트위터에서 집단 지성과 단어를 어떻게 관계 하는지 보여주는 과정이다.(그림 6) \\ | 6. 오피니언 리더들의 언급과 주장 (사람들의 설문조사 & 실제 언급에 대한 횟수): 실제로 오피니언 리더들이 얼마나 언급 했는지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가장 먼저 트위터의 오피니언 리더를 중심으로 확인한다. 그 방식으로 집단 지성과 ‘빅 데이터’라는 단어가 얼마나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빅 데이터 관련 서적과 논문이 얼마나 많이 출판되고 있는지 조사한다. 또한 그 판매량이 얼만큼인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이 얼마나 많이 빅데이터를 언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사람들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서적의 판매량을 통해서 확인해 본다. 아래의 그림은 트위터에서 집단 지성과 단어를 어떻게 관계 하는지 보여주는 과정이다.(그림 6) \\ | ||
- | {{ :class: | + | {{ c: |
**''< | **''< | ||
c/ms/2016/group_12.1467354781.txt.gz · Last modified: 2016/07/01 15:03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