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rm:2025:w07_note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Table of Contents

One

연관의 가설

  • 가설: 영상의 길이가 길수록 시청자의 이탈률은 증가할 것이다.
  • 가설도출이유: 영상 콘텐츠 소비 트렌드를 보면 짧고 간결한 영상(예: 숏폼 콘텐츠)이 시청자 유지에 유리하다는 연구가 많다. 특히 모바일 기반 시청이 늘어나며 영상 길이와 이탈률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IV: 영상의 길이 (단위: 분)
  •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설명: 실제 영상의 길이를 분 단위로 측정
  • Level of measurement IV: Ratio (비율척도)
  • DV: 시청자의 이탈률 (%)
  •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설명: 영상 분석 도구(예: 유튜브 쇼츠나 기본 영상 길이) 등을 활용해 시청 도중 중단한 비율 확인
  • Level of measurement DV: Ratio (비율척도)

to 차이의 가설

  • 긴영상과 짧은영상의 시청이탈률은 다를 것이다.
  • 긴영상의 시청이탈률이 짧은영상의 그것보다 클 것이다.
  • IV: 영상길이 (Attr. 짧고 김)
  • DV: 이탈률 (churn rate)
    • short form vs. long form
    • Churn Rate (of a video) = (Total Lost Customers / Customers in the Time Period) x 100

How to minimize churn rate in Youtube video
How to improve audience retention on YouTube
Theories on viewers' retention
theories on viewers' retention

Two

연관의 가설

  • 모바일 앱의 UI 정보 구조 복잡성이 높을수록 사용자 이탈률은 증가할 것이다.
  • 가설도출이유: 앱의 정보 구조가 복잡할수록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야 한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인내심이 낮기 때문에, 정보를 찾는 과정이 복잡하거나 반복적일 경우 앱을 빠르게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래서 UI의 구조적 복잡성과 앱 이탈률 사이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 IV : UI 정보 구조 복잡성
    • 측정 방법 : 각 앱별로 과업 수행시 필요한 평균 클릭 수를 측정할 것이다. (예 : 배달의 민족 vs. 요기요 vs. 쿠팡이츠가 음식을 주문할 때까지 필요한 평균 클릭 수)
    • 측정 수준 : Ratio (0 클릭이 가능하고 이때의 0은 전혀 클릭하지 않음을 의미)
  • DV : 앱 이탈률
    • 측정 방법 : 특정 과업 (쇼핑, 음식 주문 등)을 지시한 후, 중도에 앱을 종료하거나 일정 시간 (예 : 10초 이상, 15초 이상) 이상 반응이 없는 경우를 ‘이탈’로 정한다. 그리고 전체 사용자 중 이탈한 사용자의 비율을 퍼센트로 변환하여 이탈률을 측정한다.
    • 측정 수준 : Ratio (이탈률 0%는 누구도 이탈하지 않았음을 의미).

depth of menu and task completion
theories on depth of menu and task completion
theories on depth of menu and task completion and user interface design

THREE

차이의 가설

  • 가설: 소셜 미디어 플랫폼(Tiktok, Instagram, Youtube Shorts)에서 숏폼 영상 콘텐츠의 소비는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 가설도출이유: 최근 숏폼 영상 콘텐츠의 인기가 급증하면서, 이러한 짧은 길이의 영상이 사용자 참여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관찰이있다. 왜냐하면 숏 영상은 일반적으로 15초에서 1분 사이로 제작되어 현대인의 짧아진 주의 집중 시간에 부합하며, 사용자가 빠르게 콘텐츠를 소비하고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플랫폼은 댓글, 좋아요, 공유 등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 참여를 촉진한다. 이러한 경향을 바탕으로, 숏폼 영상 콘텐츠의 소비가 사용자 참여를 촉진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 IV
    •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설명
    • 독립변수 이름: 숏폼 영상 콘텐츠 소비 수준 (Short-form video consumption).
    • 측정 방법:
      • 시청 시간: 사용자가 하루 동안 숏폼 영상을 시청한 총 시간(분/초)
      • 시청 빈도: 일정 기간(예: 하루) 동안 사용자가 숏폼 영상을 시청한 횟수
      • Level of measurement IV
      • 비율(Ratio): 시청 시간(예: 하루 30분) 또는 시청 횟수(예: 하루 20회).
  • DV
    •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설명
    • 종속변수 이름: 사용자 참여 수준 (User Engagement)
    • 측정 방법:
      • 좋아요 수(likes): 각 영상에서 받은 좋아요 수
      • 댓글 수(comments): 각 영상에서 받은 댓글 수
      • 공유 수(shares): 각 영상에서 공유된 횟수
      • 참여율 = (( likes + comments + shares) / total ) x 100%
      • Level of measurement DV
      • 비율(Ratio): 좋아요, 댓글, 공유는 구체적인 숫자로 측정

Four

연관의 가설

  • 가설: 숏폼 콘텐츠의 소비 시간과 빨리감기로 영상을 보는 빈도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가설도출이유: 빠른 시간 안에 강한 자극을 주는 숏폼 콘텐츠의 소비가 다른 콘텐츠의 소비 및 감상에 있어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IV: 숏폼 콘텐츠 소비 시간
    •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설명: 무작위로 선정한 사람들에 대해 ‘하루 평균 숏폼 콘텐츠 소비시간’을 급간을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예 : 일당 평균 30분 이하, 일단 평균 30분 초과 1시간 미만)
    • Level of measurement IV: Ratio
  • DV : 영상 빨리감기 사용 빈도 수
    •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설명: 10분 이상의 영상콘텐츠를 시청할 때 빨리감기/건너뛰기를 사용한다라는 질문에
    • 전혀 아니다, 아니다, 가끔 그렇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 답변 항목을 나누어 설문을 받는다.
    • Level of measurement DV: interval
c/mrm/2025/w07_note.1746061231.txt.gz · Last modified: 2025/05/01 10:00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