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rm:2022:lecturer_note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5th week
- 김도휘
- 유사성-매력이론(Similarity-Attraction theory)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외형, 성별, 연령 등 외적인 모습 뿐만 아니라 자신과 유사한 의견, 신념, 태도를 지닌 사람에게 매력과 편안함을 느낀다.
- 이를 가상 인플루언서 맥락에 적용했을 때, 소비자들은 가상 인플루언서의 취향, 가치관, 의견이 실제 사람과 유사해 친근함을 느낄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도 소비자들이 선망할 만한 모습과 비슷한 연령대의 인물로 지각하기 때문에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은 가상 인플루언서가 전시하는 일상 이야기가 현실과 유사할수록 이들을 실제 친구, 동료와 같이 친근하게 느끼는 것이다.
- 인플루언서 혹은 digital human, digital agent
- What kind of character would be suitable for a human?
- 김결
- 체화된 인지이론
- 체화된 인지 이론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체화-주체론”에서 비롯되었으며, 체화된 인지의 핵심적인 의미는 인류의 체험, 감각, 지각, 주의, 기억, 정서 등이 모두 신체를 통해 실현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체화된 인지 이론에 따르면 수용자는 VR 의 신체 체험을 물리적 세계에 근접하거나 동등한 “진실”의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감각, 지각, 정서, 기억, 자아 인지 등 심리적 측면의 의미를 구축할 수 있다.
3rd week
class survey
social theory about online game behavior
- behaviors in online game environmnent
- social interaction in oge
- social practices in oge
social identity
- social identity in oge
- social identity in virtual environment (ve)
virtual reality
- social interaction in virtual reality
- social interaction in virtual environment
virtual human
- When are virtual human appreciated?
- When do people feel offensive when interacting with virtual humans?
recommendations
- youtube recommendations and group polarization
- filter bubble . . .
- when do filter bubble distort reality?
c/mrm/2022/lecturer_note.1648595469.txt.gz · Last modified: 2022/03/30 08:11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