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rm:2022:lecturer_not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c:mrm:2022:lecturer_note [2022/03/16 08:56] – hkimscil | c:mrm:2022:lecturer_note [2022/05/09 08:34] (current) –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 | ====== 10th ====== | ||
+ | * Regulatory focus theory | ||
+ | * | ||
+ | ====== 9th week ====== | ||
+ | * Back to hypotheses | ||
+ | * Identifying variables (IV, DV, etc) | ||
+ | * Exploring measurement --> | ||
+ | * designing analysis method | ||
+ | * survey | ||
+ | * experiment | ||
+ | * observation | ||
+ | * records (artifacts) | ||
+ | |||
+ | * 최은혜. one-way ANOVA vs two-way ANOVA (Factorial ANOVA) | ||
+ | * 이윤정. 플로우이론과 가설의 관계 | ||
+ | * 정인영. 자체에 대한 테스트 | ||
+ | * 계획된 행동이론(TPB) | ||
+ | * [[https:// | ||
+ | * 행동에 대한 태도 (attitudes toward behavior) | ||
+ | * 주관적 규범 (subjective norm) | ||
+ | * 지각된 행동< | ||
+ | * 의도 (intention) | ||
+ | * 행동 (behavior) | ||
+ | * {{https:// | ||
+ | * measuring PBC | ||
+ | * see https:// | ||
+ | * 송하연. Affordance theory | ||
+ | * An “affordance”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an action on an object; for instance, we say that an elevator button affords being pressed, and a chair affords being sat on. . . . [[https:// | ||
+ | * relationship between AT (affordance) and FT (flow)? | ||
+ | * + VR (virtual world) design | ||
+ | * 좋은 affordance 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해하고 유용한 UI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면 그렇다면 affordance란 어떻게 측정하는가? | ||
+ | * --> affordance | ||
+ | * [[https:// | ||
+ | * | ||
+ | |||
+ | ====== 5th week ====== | ||
+ | * 김도휘 | ||
+ | * 유사성-매력이론(Similarity-Attraction theory)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외형, 성별, 연령 등 외적인 모습 뿐만 아니라 자신과 유사한 의견, 신념, 태도를 지닌 사람에게 매력과 편안함을 느낀다. | ||
+ | * 이를 가상 인플루언서 맥락에 적용했을 때, 소비자들은 가상 인플루언서의 취향, 가치관, 의견이 실제 사람과 유사해 친근함을 느낄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도 소비자들이 선망할 만한 모습과 비슷한 연령대의 인물로 지각하기 때문에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은 가상 인플루언서가 전시하는 일상 이야기가 현실과 유사할수록 이들을 실제 친구, 동료와 같이 친근하게 느끼는 것이다. | ||
+ | * 인플루언서 혹은 digital human, digital agent | ||
+ | * What kind of character would be suitable for a human? | ||
+ | * 김결 | ||
+ | * 체화된 인지이론 | ||
+ | * 체화된 인지 이론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 | ||
+ | * 황지환 | ||
+ | * 어포던스(Affordance) 이론 | ||
+ | * 심리학자 깁슨이 처음 제시한 어포던스라는 개념은 영어 동사 afford(~할 만하다)에 접미사 -ance를 붙인 용어로, 정보에 따라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 ||
+ | * 이에 어포던스 이론은 기존에 알고 있던 방식대로 행동할 때 인간은 심리적·신체적으로 편안하게 정보를 받아들인다는 이론이다. 예로 특정 인물이 ‘왼발잡이니까 왼발만 사용해야지라고 생각할 때 오른발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생각에 이미 익숙하기 때문에 실제로도 왼발을 더욱 사용하게 되는 상황에서 어포던스 이론을 살펴볼 수 있다. | ||
+ | * 최민수 | ||
+ | * 디지털사회이론 | ||
+ | * -- | ||
+ | * 유경진 | ||
+ | * 사회정서선택이론 | ||
+ | |||
====== 3rd week ====== | ====== 3rd week ====== | ||
c/mrm/2022/lecturer_note.1647388579.txt.gz · Last modified: 2022/03/16 08:56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