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rm:2020:schedul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c:mrm:2020:schedule [2020/05/06 23:14] – [Week 7 (April 27, 29)] hkimscil | c:mrm:2020:schedule [2020/06/26 15:48] (current) – [Week 16: Final Period] hkimscil | ||
---|---|---|---|
Line 455: | Line 455: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 Concepts and Ideas ==== | ==== Concepts and Ideas ==== | ||
- | * [[:Types of Error]] type I and type II error | + | Hypothesis testing page 중에서 [[: |
- | * alpha, p-value, confidence level | + | * Sampling distribution |
- | * beta | + | * Standard error |
+ | * CLT에 대해서 이해해 둘 것 | ||
+ | [[:Types of Error]] type I and type II error | ||
+ | * alpha, p-value, confidence level | ||
+ | * beta, beta 에러를 줄이는 법 | ||
[[: | [[: | ||
- | * [[:Reliability]] | + | * [[:Indices|인덱스]] |
- | * [[:Validity]] | + | * [[:Scales|척도]] |
- | * [[:Scales]] | + | * [[:Typology|유형]] |
- | * [[:Indices]] | + | |
- | * [[:Typology]] | + | * [[:Reliability|신뢰도]] |
+ | * [[:Validity|타당도]] | ||
+ | |||
+ | [[:Level of Measurement]] | ||
---- | ---- | ||
+ | |||
* conception - conceptualization - concept | * conception - conceptualization - concept | ||
* 구상개념 - 개념화 - 개념 | * 구상개념 - 개념화 - 개념 | ||
Line 482: | Line 492: | ||
* NOIR | * NOIR | ||
* Ratio: absolute zero (nothingness) | * Ratio: absolute zero (nothingnes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Line 509: | Line 517: | ||
* [[:Level of Measurement:# | * [[:Level of Measurement:# | ||
* [[:Level of Measurement:# | * [[:Level of Measurement:# | ||
- | * [[:Level of Measurement: | + | * [[:scales#리커트_척도_lickert_scale]] |
* [[: | * [[: | ||
* [[:Level of Measurement:# | * [[:Level of Measurement:# | ||
Line 530: | Line 538: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 Assignment ==== | ==== Assignment ==== | ||
- | - 도서관이나 인터넷 상에서 미디어현상과 관련된 실험을 이용한 연구보고서를 찾아보시오. 이 연구에서 | + | |
- | *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은 무엇이었는지, | + | |
- | * 각각의 측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 + | |
- | * 처치집단과 제어집단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 | + | |
- | - 콘텐트 분석을 방법으로 하는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도서관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하시오.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것을 중심으로 선택할 것. | + | |
</ | </ | ||
Line 544: | Line 548: | ||
* [[: | * [[: | ||
* [[: | * [[: | ||
+ | ---- 아래는 다루지 않습니다. | ||
* [[: | * [[: | ||
* [[: | * [[: | ||
Line 554: | Line 559: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 Assignment ==== | ==== Assignment ==== | ||
- | Final Assignment (group assignment) | + | Group Assignment (group assignment): **자기 조의 관심사를 통일하고, |
- | * 양적연구 | + | * 그룹 토론을 통해서 관심사를 정리 통일하고 |
- | * 소개글 | + | * 이와 관련된 이론이나 아이디어가 포함된 |
- | * 선행연구에 기반한 연구문제를 세우고 | + | * 요약정리하면서 자기 조의 연구문제들 혹은 가설들을 세워야 합니다. |
- | * 필요하다면 이와 관련된 가설을 만들고, | + | *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
- | * 관련된 | + | * 각각 서베이, 실험, 그리고 비개입적 방법 중 두가지를 택해서 |
- | *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작업 | + | * 서베이의 경우에는 설문지 작성이 포함되어야 하고 |
- | * 서베이 문항 작성 혹은 | + | * 실험의 경우에는 실험방법 |
- | * 실험 디자인 및 문항 작성 혹은 | + | * 비개입적 연구에는 |
- | * 자료 추출 | + | * 어떤 방법을 택하던지 각 가설에 해당하는 변인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
- | * 실제 데이터를 구하여 (만들어도 가능) 이를 분석한 후 | + | * 우리가 살펴보았던 [[: |
- | * 그 결과를 정리하고, | + | * 위에서 활동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되어 보고서로 제출되어야 합니다. |
- | * 논문을 완성하시오. | + | ---- |
+ | * 제목, 조이름, 구성원 | ||
+ | * 소개(글) | ||
+ | * 선행연구 조사정리 | ||
+ | * 선행연구에 기반한 | ||
+ | * 필요하다면 이와 관련된 가설을 만들고, | ||
+ | * 변인에 대한 | ||
+ | *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작업을 통해서 각 변인이 | ||
+ | * 서베이 문항작성 혹은 | ||
+ | * 실험 디자인 및 문항작성 | ||
+ | * 자료 추출에 대한 디자인이 포함이 되어야 합니다. | ||
+ | * 마지막으로 기대되는 | ||
* APA 스타일 사용 참고: | * APA 스타일 사용 참고: | ||
- | * https:// | + | * <del>https:// |
+ | ---- | ||
+ | 과제내용 수정 및 보완 | ||
+ | * [[:APA style]] 내용 중의 https:// | ||
+ | * 가설검증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 데이터 분석, 결과논의 등은 이 수업에서 하지 않습니다. | ||
+ | * 가설의 숫자는 5개 이상으로 하지만, 가설의 숫자보다 가설의 질을 평가에 참조합니다. | ||
+ | * **가설의 질이란, 얼마나 깊고 넓게 관심사안과 관련된 이론과 여타의 연구를 살펴보고, | ||
+ | * 서베이방법 + 실험방법을 과제로 택했을 때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하는 것입니다. 단, 연구목적이나 내용에 따라 서베이가 적합한 반면 실험이 부적합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서베이방법 + 비개입적 연구를 택할 수 있습니다. 어떤 두 가지 방법을 택하든, 각각 새로운 연구문제나 내용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 ||
</ | </ | ||
===== Week 12: (June 1, 3) ===== | ===== Week 12: (June 1, 3) ===== | ||
Line 664: | Line 686: | ||
</ | </ | ||
- | ===== Week 15: Project Presentation | + | ===== Week 15: Project Presentation |
- | Dec 13: Presentation | + | |
- | ===== Week 16: Final Period | + | ===== Week 16: Final Period |
- | Dec 15: Exam Period | + | 퀴즈 |
- | '' | + | * July 02. 목요일 Quiz 봅니다. |
- | <WRAP group> | + | * 퀴즈 |
- | <WRAP third column> | + | *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범위 | + | * Week 06 |
- | [[:types of error]] | + | * Week 07 |
- | 7장 | + | * Week 09 |
- | 2. 지수 대 척도: 지수와 척도 차이점 | + | * Week 10 |
- | 4. 척도의 구성: | + | * Week 13 |
- | * [[:Borgadus Social Distance Scale|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 | + | ----- |
- | * [[: | + | |
- | * [[:Likert Scale]] | + | |
- | * [[:Semantic Differential]] | + | |
- | * [[:Guttman Scale]] | + | |
- | 8장. 서베이 조사 | + | |
- | 2. 적합한 주제 | + | |
- | 3. 질문을 위한 지침 | + | |
- | * 모두 | + | |
- | 4. 설문지 구성 | + | |
- | * 일반설문지 형태 | + | |
- | * 조건부 질문 | + | |
- | * 행렬식 질문 | + | |
- | * 문항의 순서 | + | |
- | * 지시문 | + | |
- | 5. 자기기입식: 응답률 부분만 (p.370) | + | |
- | 8. 온라인서베이 | + | |
- | 9. 서베이방법들 | + | |
- | 10. 장단점 | + | |
- | 11. 이차분석 | + | |
- | </ | + | |
- | <WRAP third column> | + | |
- | 9장 | + | |
- | 2. 적절한 주제 | + | |
- | 3. 고전적 실험 | + | |
- | * 독립, 종속변수 | + | |
- | * 사전, 사후조사 | + | |
- | * 실험, 통제집단 | + | |
- | 4. 피험자 선정 | + | |
- | * 확률표집 | + | |
- | * 무작위화 | + | |
- | 5. 다양한 실험설계 | + | |
- | * 실험설계 | + | |
- | * 타당도 문제 | + | |
- | * 실험예시 | + | |
- | 7. 대안적 심험상황 | + | |
- | 8. 장점과 단점 | + | |
- | 10장 내용분석 | + | |
- | 2. 내용분석 | + | |
- | * 적절한 주제 | + | |
- | * 표집 | + | |
- | * 분석단위 | + | |
- | * 표집기법 | + | |
- | * 내용분석의 코딩 | + | |
- | * 현재/ | + | |
- | * 내용분석의 실제 사례 | + | |
- | 3. 기존 통계자료의 분석 | + | |
- | * 뒤르켐의 연구 | + | |
- | * 세계화 | + | |
- | * 분석단위 | + | |
- | * 타당도의 문제 | + | |
- | * 신뢰도의 문제 | + | |
- | 4. 비교역사분석 | + | |
- | * 예 | + | |
- | * 분석방법 | + | |
- | </ | + | |
- | <WRAP third column> | + | |
- | 11장. 현장연구 (Field Study) | + | |
- | 2. 적절한 주제 | + | |
- | 3. 고려사항 | + | |
- | * 관찰자의 역할 | + | |
- | * 관찰 대상과의 관계 | + | |
- | 4. 파라다임들 | + | |
- | * 자연주의 | + | |
- | * 민간방법론 | + | |
- | * 현장기반이론 | + | |
- | * 사례연구 | + | |
- | 5. 실행 | + | |
- | * 준비 | + | |
- | * 질적면접 | + | |
- | * 포커스그룹 | + | |
- | * 관찰기록 | + | |
- | + | + | |
- | 각 조의 발표 내용 일부 | + | |
- | + | + | |
- | * [[:Social Network Analysis]] | + | |
- | * [[: | + | |
- | * [[:Text Mining the Complet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 + | |
- | * [[:Text Mining example with Korean Songs]] | + | |
- | * [[:Factor Analysis]] | + | |
- | </ | ||
- | </ |
c/mrm/2020/schedule.1588774445.txt.gz · Last modified: 2020/05/06 23:14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