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positive_computing:10_expert_perspectiv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book:positive_computing:10_expert_perspective [2016/07/20 20:29] – hkimscil | book:positive_computing:10_expert_perspective [2016/07/21 21:53] (current) – [Computers and the Condition of Human Plurality] hkimscil | ||
---|---|---|---|
Line 1: | Line 1: | ||
====== Expert Perspectives—Technology for Empathy and Plurality ====== | ====== Expert Perspectives—Technology for Empathy and Plurality ====== | ||
- | | < | + | |< 100% 50% >| |
+ | | < | ||
Expert Perspectives—Technology for Empathy and Plurality | Expert Perspectives—Technology for Empathy and Plurality | ||
Compassionate Computer Agents | Compassionate Computer Agents | ||
Line 38: | Line 39: | ||
====== Computers and the Condition of Human Plurality ====== | ====== Computers and the Condition of Human Plurality ====== | ||
+ | |< 100% 50%>| | ||
| < | | < | ||
Computers and the Condition of Human Plurality | Computers and the Condition of Human Plurality | ||
Line 59: | Line 61: | ||
Of course, we can and do learn a great deal from computer-mediated information—especially when the source has been established as trustworthy and when the information we seek is factual and objective. But som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we seek is existential, | Of course, we can and do learn a great deal from computer-mediated information—especially when the source has been established as trustworthy and when the information we seek is factual and objective. But som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we seek is existential, | ||
</ | </ | ||
- | Computers and the Condition of Human Plurality | + | 컴퓨터와 인간 다수성의 조건 |
< | < | ||
Line 65: | Line 67: | ||
Mihaly Csikszentmihalyi, | Mihaly Csikszentmihalyi, | ||
- | It’s been half a century since Marshall | + | 마샬 맥루한(MacLuhan)이 미디어에 관한 논문을 세상에 내놓은지 반세기가 흘렀다. 그의 논문은 많은 부분이 잘못되었지만 어느 정도의 진실 또한 포함하는 것이었다. 대개의 경우가 그렇듯이 그가 제시한 아이디어의 진정으로 중요한 공헌은 잊혀진 상태이거나, 적어도 그의 저술 직후 대두된 뉴미디어에 대한 적용도 대체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
- | If one just takes the most memorable line from MacLuhan’s work, “the medium is the message,” and applies it to computers and to the Internet, some interesting issues are foregrounded. | + | 맥루한의 업적 중 가장 기릴만한 것으로 " |
- | Let us just think about how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differs from interpersonal face-to-face communication. The latter is the expression of what the social philosopher | + | 우선 컴퓨터매개 커뮤니케이션과 대인적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후자는 사회철학자인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인간의 조건으로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꼽은 것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양성이 그것이다. 우리를 인간으로 우뚝서게 하는 것은 우리 개인의 독특한 점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유전자와 초기 환경에 의해서 정해진 한계를 뛰어넘어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월트 위트먼이 이야기 했던 것처럼 우리가 다양성을 유지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와 유사한 사람들로부터의 정보 뿐만이 아니라 우리와 상반되는 사람들로부터의 정보에도 열려있기 때문이다. |
- | This information, | + | 인간을 인간으로 만든 이 정보는 단순히 단어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의미만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우리가 어떤 정보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은 그 정보의 발신자(sender)를 믿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믿는다는 것은 여러가지의 것들에 의해서 좌우된다. 우리는 이제 이 신의라는 개념이 내 앞에서 말하는 사람이 어떤 냄새를 풍기는지, 어떻게 보이는지, 표현력은 어떤지, 그리고 목소리의 톤은 어떤지 등등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것을 안다. 결국 우리는 우리가 전혀 모르는 소스나 우리와 전혀 다른 사람에게서 보내진 메시지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다. |
- | What is essential to the condition of plurality is this fine balance between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among the partners of the exchange. If there is too much similarity, learning something new is unlikely; if there is too much dissimilarity, | + | 다양성 상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정보교환 파트너 간의 유사성과 비유사성의 미세한 균형이다. 만약에 유사성이 너무 많다면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어려울 것이며, 비유사성이 너무 많다면 교환되는 정보가 상관없는 것이 되어 벌릴 것이다. 다양성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
- | What is missing from the so-called social media is the condition of plurality. Social media are social, but rarely plural.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intain contact on the web, the parties usually try to emphasize their similarity. But because the communication relies only on the written word and not on the looks, smells, and other dimensions of physicality that facilitate openness and trust, each party essentially remains himself or herself, without having the growth-producing experience that an encounter among humans has, at least when the conditions for it are right. | + | 소위 소셜미디어라고 하는 것들에게서 부족한 것은 바로 이 다양성 상태이다. 소셜미디어는 단어의 의미대로 사회적이다. 그러나 다양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즉, 사용자가 웹상에서 접촉을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진 유사성을 강조해야만 한다. 그러나, 웹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개방성과 신뢰성에 도움을 주는 당사자의 생김새나 냄새, 혹은 다른 측면의 신체적인 특징이 아닌 자판으로 쓴 글에 의존하므로 당사자는 자기 자신에만 국한되는 커뮤니케이션을 하게된다. 즉 조건만 맞다면 일어날 수 있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험인 관계의 발전(growth)이 없는 커뮤니케이션인 것이다. |
- | + | ||
- | Of course, we can and do learn a great deal from computer-mediated information—especially when the source has been established as trustworthy and when the information we seek is factual and objective. But som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we seek is existential, or subjective and dialogical—that is, knowledge that helps us become fully grown persons. The computer is still not a very good medium for gaining that kind of information. Will it ever be? I am not a betting man, so I will stop right here. | + | |
+ | 물론 정보원의 신뢰성이 높고 정보가 사실적이며 객관적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컴퓨터매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또 배우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즉 우리가 완전히 성장한 개인이 되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은 존재론적인 것 혹은 주관적이고 주변적인 것이다. 컴퓨터는 아직도 이런 주변적 주관적 정보를 얻기에 좋은 미디어는 아니다. 컴퓨터가 이런 단점을 극복할 것인가? 필자는 내기를 좋아하지 않으므로 이런 질문에서 이 글을 마치려고 한다. | ||
</ | </ | ||
book/positive_computing/10_expert_perspective.1469015986.txt.gz · Last modified: 2016/07/20 20:29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