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blog:2014:0322_blog_entry_two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blog:2014:0322_blog_entry_two [2014/03/22 16:39] hkimscilblog:2014:0322_blog_entry_two [2014/10/10 22:21] (current) hkimscil
Line 1: Line 1:
-====== Blog entry two . . .  ====== +====== Announcement 2 ====== 
-일반적으로 연구는 (research)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위해서 밟는 체계적 (systematic) 노력을 뜻한다. 연구 질문 혹은 연구문제의 제기는 일상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단순한 것이기 보다는 사회의 (집단, 조직, 그룹 등등) 커뮤니케이션 현상에서 나타나는 어떤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묻는 질문을 뜻한다. 따라서, "오늘이 무슨 요일인가", "나니아 연대기가 어느 극장에서 하는가"와 같은 간단한 질문은 연구질문으로서는 너무 일상적이고 단순하여 연구문제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보다는 "남자와 여자 사이에 자아를 드러내는 행위 (self-disclosure)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가?",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게임중독을 막을 수 있을 것인가?" 라는 등이 커뮤니케이션 연구문제에 가깝다고 하겠다.+일반적으로 연구는 (research)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위해서 밟는 체계적 (systematic) 노력을 뜻한다. 연구 질문 혹은 연구문제의 제기는 일상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단순한 것이기 보다는 사회의 (집단, 조직, 그룹 등등) 커뮤니케이션 현상에서 나타나는 어떤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묻는 질문을 뜻한다. 
  
 ======  ====== ======  ======
 +
 +따라서, "오늘이 무슨 요일인가", "나니아 연대기가 어느 극장에서 하는가"와 같은 간단한 질문은 연구질문으로서는 너무 일상적이고 단순하여 연구문제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보다는 "남자와 여자 사이에 자아를 드러내는 행위 (self-disclosure)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가?",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게임중독을 막을 수 있을 것인가?" 라는 등이 커뮤니케이션 연구문제에 가깝다고 하겠다.
  
 위의 두 가지 질문들의 큰 차이점은 후자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개념이 연루되어 있다는 점이다. 첫 번째 질문의 경우는, "남성과 여성" 즉, "성(gender)"이라는 "개념과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행위 (self-disclosure)" 라는 개념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 대한 질문이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의중이나 실체에 대한 노출을 더 한다는 것이 여러분의 생각이라면 아마도 여러분은 이 생각을 검증해 보기 위해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하려고 할 것이다. 위의 두 가지 질문들의 큰 차이점은 후자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개념이 연루되어 있다는 점이다. 첫 번째 질문의 경우는, "남성과 여성" 즉, "성(gender)"이라는 "개념과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행위 (self-disclosure)" 라는 개념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 대한 질문이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의중이나 실체에 대한 노출을 더 한다는 것이 여러분의 생각이라면 아마도 여러분은 이 생각을 검증해 보기 위해서 어떤 방법으로든지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하려고 할 것이다.
Line 12: Line 14:
  
  
-~~LINKBACK~~ +
-~~DISCUSSION~~+
  
blog/2014/0322_blog_entry_two.1395473946.txt.gz · Last modified: 2014/03/22 16:39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