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b:head_first_statistics:using_hypothesis_tests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b:head_first_statistics:using_hypothesis_tests [2024/11/25 08:51] – [What if the sample size gets larger] hkimscilb:head_first_statistics:using_hypothesis_tests [2024/11/27 08:30] (current) – [What if the sample size gets larger] hkimscil
Line 127: Line 127:
 > pnorm(-3.33, 0, 1) > pnorm(-3.33, 0, 1)
 [1] 0.0004342299 [1] 0.0004342299
 +# 혹은 
 +> pnorm(80, 90, 3)
 +[1] 0.0004290603
 </code> </code>
  
 그런데 보통은 (r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와 같은 계산이 어려우므로,  그런데 보통은 (r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와 같은 계산이 어려우므로, 
-z 점수가 .05일 경우의 점수를 찾아 본다 ([[:z-table]]에서)이 때의 z 값은 -1.64 이므로 이 점수와 -3.33을 비교한다. 위의 그림처럼 -3.33은 영가설 기각기준 왼 쪽에 존재므로 영가설을 부정 혹은 기각한다+z 점수가 .05일 경우의 점수를 찾아 본다. 이는 [[:z-table]]에서 찾아보거나 R에서 찾아 볼 수 있다 
 +<code> 
 +> qnorm(0.05, 0, 1) # 왼쪽 부분 5%에 해당하는 z 값 
 +[1] -1.644854 
 +> # 혹은 원점수로 살펴보면 
 +> qnorm(0.05, 90, 3) # 왼쪽 부분 5%에 해당는 원점수 값 
 +[1] 85.06544 
 +</code>
  
-즉, 회사의 claim 인 90% cure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이 때의 z 값은 -1.64 이므로  
 +  * 이 점수와 -3.33 을 비교한다.  
 +  * 혹은 85.06544 를 80 점과 비교한다.  
 +<del>위의 그림처럼 -3.33은 영가설 기각기준 왼 쪽에 존재하므로</del> -- > P(X < -1.64) = 0.05 라는 이야기인데, 내가 구한 z 값은 -3.33 이므로 이 0.05 구간 안에 존재한다. 즉, 80점의 평균을 얻을 확률이 아주 낮다는 (1/20보다 낮다는) 이야기이므로 영가설인, 샘플의 평균인 80점이 모집단의 평균에서 나왔다는 것을 (같을 것이라는 것을) 부정한다 (혹은 기각한다). 즉, 회사의 claim 인 90% cure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다른 예: [[:hypothesis testing]] 다른 예: [[:hypothesis testing]]
b/head_first_statistics/using_hypothesis_tests.1732492308.txt.gz · Last modified: 2024/11/25 08:51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