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ence_addressabilit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audience_addressability [2015/06/09 13:06] – hkimscil | audience_addressability [2015/06/09 13:30] (current) – hkimscil | ||
---|---|---|---|
Line 111: | Line 111: | ||
^ 구분 | ^ 구분 | ||
- | | 모집단 | + | | 모집단 | * 전국 시청가구 및 시청자 |
- | | 표본 | + | | 측정방식 | * 피플미터를 통해 측정된 분당 시청 |
- | | 측정방식 | + | | 한계점 | * 기초조사, |
- | | 한계점 | + | | 데이터 차이점 |
- | | | + | | 패널조사 | * 표본을 통해 모집단 시청률의 추정치를 \\ 제공하기 때문에 추정 오차 존재 \\ * TNmS와 AGB닐슨 간의 시청률 추정치도 \\ 차이가 나타남 |
+ | | 다채널환경 | * 케이블, 위성, 모바일 TV 시청률 \\ 측정이 취약함 | ||
+ | | 측정도구 | * 시청률 산출 알고리즘(분 단위) 개선 시급. \\ * 케이블 가입가구의 채널 변동 상황을 신속하게 \\ 반영하지 못함 | ||
+ | | 유효시청 | * 개인시청기록을 입력하지 않거나 \\ 특정 채널을 장시간 시청하는 행위에 \\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취약함 | ||
+ | | 수익모델 | * 시청률 데이터 판매, 마케팅 리서치 \\ 및 분석보고서 판매 이외의 수익모델 \\ 부재함 | ||
- | ====== Readings ====== | ||
- | * {{: | ||
- | * {{: |
audience_addressability.1433822797.txt.gz · Last modified: 2015/06/09 13:06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