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audience_addressability [2015/06/09 13:05] – hkimscil | audience_addressability [2015/06/09 13:30] (current) – hkimscil |
---|
| |
^ 구분 ^ 피플미터 ^ VBM ^ | ^ 구분 ^ 피플미터 ^ VBM ^ |
| 모집단 | 전국 시청가구 및 시청자 | SO, MSO, 전국으로 구분 | | | 모집단 | * 전국 시청가구 및 시청자 | * SO, MSO, 전국으로 구분 | |
| 표본 | 전국 대상 패널 선정 | 대상지역의 디지털케이블TV 또는 위성방송가입가구 전수 | | | 측정방식 | * 피플미터를 통해 측정된 분당 시청 \\ 데이터분석 | * VBM을 통해 측정된 로그 데이터분석(초) | |
| 측정방식 | 피플미터를 통해 측정된 분당 시청 데이터분석 | VBM을 통해 측정된 로그 데이터분석(초당) | | | 한계점 | * 기초조사, 가중치, 패널의 특성에 따라 \\ 시청률 과장 \\ * 지상파에 두드러짐 | * 임의적인 표집으로 조사대상 데이터 \\ 일반화에 어려움 존재 | |
| 한계점 | 기초조사, 가중치, 패널의 특성에 따라 시청률 자체가 부풀려져 있음, 지상파에 두드러짐 | 임의적인 표집으로 조사대상 데이터의 일반화에 어려움 존재 | | | 데이터 차이점 | *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근거해 \\ 개인 시청자의 시청률 추정치를 제공. \\ * 패널가구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 상태에서 평균시청률의 단순 추정치만을 제공. \\ * 시청자의 세분화 불가능 | * 특정지역별로 분석. \\ * 개별 시청가구의 시청행태 파악. \\ * 유료부가서비스 이용행태 파악 | |
| 현 \\ 데이터에서의 \\ 가장 큰 \\ 차이점 |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근거해 개인 시청자의 시청률 추정치를 제공 \\ 패널가구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평균시청률의 단순 추정치만을 제공 \\ 시청자의 세분화 불가능 | 특정지역별로 분석 \\ 개별 시청가구의 시청행태 파악 \\ 유료부가서비스 이용행태 파악 | | | 패널조사 | * 표본을 통해 모집단 시청률의 추정치를 \\ 제공하기 때문에 추정 오차 존재 \\ * TNmS와 AGB닐슨 간의 시청률 추정치도 \\ 차이가 나타남 | * 기존 조사회사의 한계를 보완한 \\ 전국 및 가입가구 전수 조사 가능. \\ * 추정오차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화 가능 | |
| | 다채널환경 | * 케이블, 위성, 모바일 TV 시청률 \\ 측정이 취약함 | * 디지털 환경의 케이블TV 프로그램 \\ 및 광고시청률, 시청행태의 정교한 측정 도구로 \\ 정확한 데이터 분석 가능 | |
| | 측정도구 | * 시청률 산출 알고리즘(분 단위) 개선 시급. \\ * 케이블 가입가구의 채널 변동 상황을 신속하게 \\ 반영하지 못함 | * 사용자의 분석 편의성을 증대하고 \\ * 초 단위의 시청률 산출이 가능하며, \\ * 디지털 케이블 가입가구의 시청 관련 \\ 데이터 트래킹 및 분석이 체계적으로 \\ 가능함 | |
| | 유효시청 | * 개인시청기록을 입력하지 않거나 \\ 특정 채널을 장시간 시청하는 행위에 \\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취약함 | * STB 분석을 통한 유효하지 않는 \\ 시청값을 분류, 보다 정확한 \\ 시청률 측정이 가능함 | |
| | 수익모델 | * 시청률 데이터 판매, 마케팅 리서치 \\ 및 분석보고서 판매 이외의 수익모델 \\ 부재함 | * 디지털 융합환경에서의 다양한 \\ 마케팅 분석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을 \\ 통한 잠재 고객사 발굴 가능. \\ * 인터랙티브 광고 기법 및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 소비자 행동 분석을 토대로 심층 \\ 보고서 구성 가능 → 새로운 Selling Point \\ 마련 가능 | |
| |
| |
====== Readings ====== | |
* {{:크로스미디어_통합시청률조사의_필요성과_국내외_사례.pdf|}} | |
* {{:방송환경_변화와_시청률_조사방식의_변화.pd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