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ence_addressabilit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audience_addressability [2015/06/09 12:37] – hkimscil | audience_addressability [2015/06/09 13:30] (current) – hkimscil | ||
---|---|---|---|
Line 77: | Line 77: | ||
: After more than six years of kicking the tires on the concept, Comcast has finally decided to take addressable TV advertising to all its markets through a deal with technology firm [[http:// | : After more than six years of kicking the tires on the concept, Comcast has finally decided to take addressable TV advertising to all its markets through a deal with technology firm [[http:// | ||
====== Background Concepts ====== | ====== Background Concepts ====== | ||
- | * Television as one of the Mass Media | + | ===== Television as one of the Mass Media to a Personal Media ===== |
- | * [[http:// | + | * [[http:// |
- | * [[http:// | + | * [[http:// |
- | * Set up in 1981 | + | * Set up in 1981 |
- | * To provide audience measurement information | + | * To provide audience measurement information |
- | * Owned by BBC, ITV, Channel 4, Channel 5, BSkyB and the IPA (Institute of Practitioners in Advertising) | + | * Owned by BBC, ITV, Channel 4, Channel 5, BSkyB and the IPA (Institute of Practitioners in Advertising) |
- | * Not a profit organization | + | * Not a profit organization |
- | * Live and Consolidate data (about audience) | + | * Live and Consolidate data (about audience) |
- | | + | ===== 피플미터: |
- | * HUT=(TV사용 가구수/ | + | * Read {{: |
- | * 시청자점유율=(특정채널 시청 가구수/ | + | |
- | * 프로그램시청률=(프로그램 시청 가구수/ | + | |
< | < | ||
- | | + | |
- | * 두 번째 의문사항은 최적의 시청률 측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측정 차원에서 제기될 수 있다. 이론적 개념에서 소개되는 | + | * 시청자점유율=(특정채널 |
- | * 두 번째 질문의 경우, 아직 많은 문제가 상존하는 상태이지만 상당부분 기술적 진보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해결되고 있다. | + | * 프로그램시청률=(프로그램 시청 |
- | * 케이블 ․ 위성방송 도입에 따른 채널 증가, 다양한 TV 시청방식 등장에 따라 지상파 TV 실시간 시청을 전제로 개발된 피플미터 시청률 측정 방식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 . . | + | |
</ | </ | ||
- | | + | < |
+ | * 몇몇 개념에 대해서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무엇보다도 먼저 만약 한 가구에 두 대 이상의 TV 수상기가 있고, 이들이 다른 프로그램 시청에 이용된다면 앞에서 소개한 가구 단위의 시청률 개념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DMB, 스마트 폰 등의 디지털 기기를 통한 실시간 TV 시청과 VoD 등과 같은 비실시간 프로그램 이용 여부는 기준 시청률 개념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다. | ||
+ | * 두 번째 의문사항은 최적의 시청률 측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측정 차원에서 제기될 수 있다. 이론적 개념에서 소개되는 전체 TV 보유 가구에 대한 조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시청자 점유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채널을 특정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지상파의 경우 시청권역 마다 동일한 채널이라도 다른 채널번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케이블 채널의 경우 서비스 공급자(SO)에 따라 채널번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그램시청률 산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프로그램 방영시간을 파악해야만 한다. 이 데이터와 특정 채널 시청여부를 결합해야만 프로그램을 특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프로그램시청률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면, | ||
+ | * 두 번째 질문의 경우, 아직 많은 문제가 상존하는 상태이지만 상당부분 기술적 진보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해결되고 있다. 전수조사가 불가능한 부분은 표본추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 ||
+ | * 케이블 ․ 위성방송 도입에 따른 채널 증가, 다양한 TV 시청방식 등장에 따라 지상파 TV 실시간 시청을 전제로 개발된 피플미터 시청률 측정 방식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 . . | ||
+ | </ | ||
+ | | ||
< | < | ||
* 1942년 미국의 닐슨社가 MIT 특허를 구입해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 이용한 방식이 오디미터(audimeter)이다. 오디미터는 TV나 라디오에 미터기기를 장착하여 TV나 라 디오 상태의 변화, 즉 켜고 끔, 채널 변경 여부만을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기계식 시청 조사방식이다. 이어 1950년부터 이 방법을 이용해 네트워크TV 시청률 조사를 실시했 다. 오디미터는 TV나 라디오의 상태의 변화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 소개 한 시청자점유율 혹은 프로그램시청률을 가구 단위 수준에서만 측정할 수 있다. 당시 대부분의 가구에서 1대 이상의 라디오 혹은 TV를 보유하기 쉽지 않은 상황, 그리고 수개의 지상파 채널 시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환경에서 오디미터 시청률 측정방법은 큰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가구당 복수의 TV 수상기 보유가 일반화되 고 수십 개 이상의 케이블TV 채널 시청이 일상화되는 상황에서 오디미터 시청률 측 정방식의 한계가 노출될 수밖에 없다. 또한 TV가 주요한 광고매체로 부상하고 마케팅 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오디미터 방식보다 진일보한 세분화된 개인 시청정보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 * 1942년 미국의 닐슨社가 MIT 특허를 구입해 라디오 청취율 조사에 이용한 방식이 오디미터(audimeter)이다. 오디미터는 TV나 라디오에 미터기기를 장착하여 TV나 라 디오 상태의 변화, 즉 켜고 끔, 채널 변경 여부만을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기계식 시청 조사방식이다. 이어 1950년부터 이 방법을 이용해 네트워크TV 시청률 조사를 실시했 다. 오디미터는 TV나 라디오의 상태의 변화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 소개 한 시청자점유율 혹은 프로그램시청률을 가구 단위 수준에서만 측정할 수 있다. 당시 대부분의 가구에서 1대 이상의 라디오 혹은 TV를 보유하기 쉽지 않은 상황, 그리고 수개의 지상파 채널 시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환경에서 오디미터 시청률 측정방법은 큰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가구당 복수의 TV 수상기 보유가 일반화되 고 수십 개 이상의 케이블TV 채널 시청이 일상화되는 상황에서 오디미터 시청률 측 정방식의 한계가 노출될 수밖에 없다. 또한 TV가 주요한 광고매체로 부상하고 마케팅 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오디미터 방식보다 진일보한 세분화된 개인 시청정보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 ||
Line 102: | Line 105: | ||
* 국내 시청률 조사회사의 경우, 인구총조사와 비교하여 패널의 평균 가구원 수는 더 많은 편이고, 아파트 거주 가구의 비율이 과다하고, | * 국내 시청률 조사회사의 경우, 인구총조사와 비교하여 패널의 평균 가구원 수는 더 많은 편이고, 아파트 거주 가구의 비율이 과다하고, | ||
</ | </ | ||
+ | * [[http:// | ||
+ | * 닐슨으로 대표되는 시청률 조사업체의 조사 결과에만 의존해 왔던 미국 미디어 업계는 TV 시청방식의 변화, 특히 인터넷 동영상 시청 증가가 두드려지는 시장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15개 회원사가 참여하는 시청률 조사 연합체 CIMM(Coalition for Innovative Media Measurement)을 2009년 10월에 구성하였다. | ||
+ | * VBM (Viewer Behavior Measurement) | ||
+ | * Read {{: | ||
+ | |||
+ | ^ 구분 | ||
+ | | 모집단 | * 전국 시청가구 및 시청자 | ||
+ | | 측정방식 | * 피플미터를 통해 측정된 분당 시청 \\ 데이터분석 | ||
+ | | 한계점 | * 기초조사, | ||
+ | | 데이터 차이점 | ||
+ | | 패널조사 | * 표본을 통해 모집단 시청률의 추정치를 \\ 제공하기 때문에 추정 오차 존재 \\ * TNmS와 AGB닐슨 간의 시청률 추정치도 \\ 차이가 나타남 | ||
+ | | 다채널환경 | * 케이블, 위성, 모바일 TV 시청률 \\ 측정이 취약함 | ||
+ | | 측정도구 | * 시청률 산출 알고리즘(분 단위) 개선 시급. \\ * 케이블 가입가구의 채널 변동 상황을 신속하게 \\ 반영하지 못함 | ||
+ | | 유효시청 | * 개인시청기록을 입력하지 않거나 \\ 특정 채널을 장시간 시청하는 행위에 \\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취약함 | ||
+ | | 수익모델 | * 시청률 데이터 판매, 마케팅 리서치 \\ 및 분석보고서 판매 이외의 수익모델 \\ 부재함 | ||
+ | |||
- | * Television as a Personal Media | ||
- | ====== Readings ====== | ||
- | * {{: | ||
- | * {{: |
audience_addressability.1433821069.txt.gz · Last modified: 2015/06/09 12:37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