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minerva_university_at_kgi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ajou:minerva_university_at_kgi [2018/11/09 14:50] – [의견서] hkimscil | ajou:minerva_university_at_kgi [2018/11/09 22:57] (current) – hkimscil | ||
---|---|---|---|
Line 64: | Line 64: | ||
+ | ---- | ||
+ | * Minerva university의 전체적인 교육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져 있음. | ||
+ | * 온라인 수업은 ALF를 통해서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만 혹은 그 이상의 효과를 보도록 고안됨. | ||
+ | * 또한 4년 동안의 수강과정에는 7개의 거점 국가를 돌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 | ||
+ | * 이 과정을 의미있게 하기 위해서 cornerstones 커리큘럼은 | ||
+ | * 지식전수와 사회현상에 이를 응용하는 것을 강조하는 내용을 가짐 | ||
+ | * 가령; Empirical Analyses 커리큘럼은 기초적인 과학적 사고방식과 통계학적인 마인드를 정립하도록 하는 내용과 | ||
+ | * water, food 등의 분배(allocation) 문제에 대한 접근 등의 직접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고찰을 하도록 하는 내용이 병행됨 | ||
+ | * 이런 교육내용은 (cornerstones) 결국, 거점국가 여행을 통한 실전적인 사회, 경제, 정치 문제나 현상을 분석, 문제를 파악하고, | ||
+ | * Kayla Cohen, "On Campus" | ||
+ | * 또한 MINERVA LAUNCHES ITS FOURTH CITY: SEOUL 참조, retrieved from https:// | ||
+ | * 결국 Minerva 교육의 핵심은 테크놀로지적인 측면에서는 온라인교육으로 비춰지지만 온라인교육+인터액션+오프라인의 산지식적인 경험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라고 파악됨 | ||
+ | * 이는 Minerva의 온라인 교육내용만을 떼어와서 아주대학교의 학생들에게 적용하면서 whole(전체)을 만들어주는 오프라인관 프로그램을 무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그램 론칭방식이라고 생각됨. | ||
+ | * 또한 Minerava의 이런 프로그램은 Director of Student Affairs in Seoul과 같은 거점도시를 순회하는 staff, Minerva’s Director of Mental Health와 같은 학생건강을 관장하는 staff 등의 치밀한 infra의 구성이 선행된 것을 생각해 봐야 할 것 - 아주대학교가 이런 인프라를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는가? | ||
+ | |||
+ | * 현재 아주대학교는 Minerva의 교육내용 중 일학년이 공통으로 수강하는 과정을 같은 1학년 (가을학기에 시작하도록 하는)에 적용하여 교육하고자 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음. 각 수업의 내용은 | ||
+ | * Complex systems | ||
+ | * Empirical Analyses | ||
+ | * Formal Analyses | ||
+ | * Multimodal Communications 로 구성됨 | ||
+ | |||
+ | * 각 수업의 활동은 (수업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 ||
+ | * 각 90분 분량의 HC-scored Class Polls and Activities | ||
+ | * Signature Assignments (SA) | ||
+ | * Location-based Assignments (LBA) | ||
+ | * Final Project: 수강하는 4과목 공통의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성됨 | ||
+ | |||
+ | * 결국 학생은 한 과목 당 2-3개의 혹은 4과목 총괄하여 8-10개 정도의 writing assignment와 | ||
+ | * 공통 프로젝트를 하나를 수행함. | ||
+ | * 각 signature assignments는 preparation, | ||
+ | * 또한 LBA의 경우, 관련된 city나 장소를 방문하거나, | ||
+ | * 이를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학생들은 각 과목의 활동이 서로 겹치거나 혼란스럽지 않도록 하는 management skill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
+ | * 또한 위 90분 수업은 결석이 허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Minera 재학생의 게시판(Quora) 참조, retrieved from https:// | ||
+ | * 교수자에게는 location-based assignment는 단순히 교수자-학생 간의 cordination이 아닌, 교수자-Location(city of residence)-학생 간의 cordination을 조정해야 하는 workload 또한 생길 수 있음. 이를 전담하는 staff이 있다고 하더라도, | ||
+ | * 교육내용은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수업과 매치를 해보면 | ||
+ | * 사회학 소개 | ||
+ | * 과학적사고 및 통계 | ||
+ | * 통계학 | ||
+ | * 커뮤니케이션 과 비슷함 | ||
+ | * 그러나, 실교육 내용은 전통적인 지식전수 외에 | ||
+ | * 실전적인 problem 진단과 soltuion 개발 등의 교육/ | ||
+ | * 실제 내용을 보면 전통적인 지식전수가 완전(온전)하지 않게 보이는 면이 없지 않음. | ||
+ | * 가령, 통계수업의 내용을 보면 고급적인 정보에 필요한 선지식에 대한 교육이 없는(없게 보이는) 경우가 있음 | ||
+ | * multiple regression, game theory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알아야 하는데 그렇게 보이지 않음(보고자인 제가 틀렸을 수 있습니다). | ||
+ | |||
+ | * 전반적으로 단순히 4과목의 온라인시스템 운영을 아주대학교교육에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고 봄. | ||
+ | * 이에 해당하는 온라인, 오프라인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할 것 (Minerva가 대학교라는 통합적인 교육기관으로 론칭한 것(대학내 교육환경이 아닌)에 이유가 있다고 봄) | ||
+ | * 교수자 또한 교수방법에 대한 온전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함 (기술만 던져주고 해보라고 하는 형식은 안됨). | ||
+ | | ||
ajou/minerva_university_at_kgi.1541742614.txt.gz · Last modified: 2018/11/09 14:50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