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의 특수성
공공재 특성 (public goods)
비경합성(non-rivalry): 어느 한 소비자의 소비가 다른 소비자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끼리 경쟁하지 않아도 소비가능 → 시장의 자발적인 생산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정부나 기관의 개입이 필요하게 됨
비소모성 혹은 비배제성(non-exclusivity): 소비가 재원의 고갈을 부르지 않음. 혹은 소비자가 가격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미디어(콘텐츠) 이용을 배제하기 어려움.
경험재
이중상품시장(dual product market)
방송프로그램 판매시장 (대 시청자)
수용자 판매시장 (대 광고주)
규모의 경제
생산규모가 커질수록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구조
대부분의 공공재 산업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특성으로, 생산에 필요한 초기비용은 많이 들어가지만 초기 투자 이후에 추가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 않음
방송산업 역시 개국 초기에는 설비, 인력 등 많은 투자비용이 발생하지만, 시청자가 늘어날수록 생산에 필요한 평균비용은 점차 하락
창구효과(window effect)
외부효과
특정한 경제활동이 뜻하지 않게 다른 사람에게 이익 혹은 손해를 가져다 주면서도, 이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것 (시장 원리에서 벗어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제적·사회적 이익이나 손해)
방송산업은 공공재라는 상품의 속성으로 인해 다양한 외부효과가 발생하는 구조
예)
방송과 관련된 환경
정부
광고
방송사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원
시청자 - 광고주의 브릿지 역할
신규매체
기타
시민단체 및 전문가 집단
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시장
방송사 조직
제작및 편성부서: 제작국, 편성국
경영및 관리부서: 경영국
기술부서: 기술국
제작국
드라마, 예능, 교양
보도: 뉴스프로그램
시사: 탐사보도 프로그램
스포츠: 뉴스 및 중계
미술부
미술감독
세트디자이너
수품 담당자
무대전기효과 담당자
의상/분장 담당자
제작영상부
인력
편성국
편성기획: 장단기 프로그램 편성 기획
외주: 국내외 프로그램 구매, 발주 및 교환업무
아나운서: 아나운서 배치 및 교육
경영국
광고: 광고 판매 ㅂ및 수주관리, 광고주 관리
경영지원: 시청률 조사, 재무회계, 인사
홍보: 프로그램 홍보 및 이벤트
기술국
스튜디오: 스튜디오 장비 및 운용 유지
송출: 송신소, 위성, 관련 송출기기 담당
현장: 현장 중계팀 관리


인적구성
제작진 (staff):
출연진 (cast): 연예인
드라마 등: 탈랜트
개그 등: 개그맨
진행 등: 아나운서 (편성국)
기술진 (crew): 기술국 인력
기술감독
음향감독
조명감독
카메라감독
영상감독
음악(효과)감독
미술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