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rm:2015:group_05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 |||
| c:mrm:2015:group_05 [2016/07/01 06:23] – ↷ Page moved from class:mrm:2015:group_05 to c:mrm:2015:group_05 hkimscil | c:mrm:2015:group_05 [2016/07/01 08:22] (current)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66.249.71.141 | ||
|---|---|---|---|
| Line 94: | Line 94: | ||
| ===독립표본 T-test=== | ===독립표본 T-test=== | ||
| 실험 결과 이모티콘의 사용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차이를 보였다. 이모티콘을 사용한 집단의 평균은 스트레스의 정도가 15.26점, 사용하지 않은 집단은 평균 스트레스의 점수가 26.87점으로 확연한 차이가 나왔다.(// | 실험 결과 이모티콘의 사용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차이를 보였다. 이모티콘을 사용한 집단의 평균은 스트레스의 정도가 15.26점, 사용하지 않은 집단은 평균 스트레스의 점수가 26.87점으로 확연한 차이가 나왔다.(// | ||
| - | {{:class: | + | {{c: |
| \\ 그림 1. 이모티콘의 사용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와 부적 정서의 정도 | \\ 그림 1. 이모티콘의 사용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와 부적 정서의 정도 | ||
| ===Factorial ANOVA=== | ===Factorial ANOVA=== | ||
| 추가적으로 변인간, 즉 이모티콘의 사용 유무와 성별 두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위해 factorial anova를 해보았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 모두 성별과는 상관이 없었으며, | 추가적으로 변인간, 즉 이모티콘의 사용 유무와 성별 두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위해 factorial anova를 해보았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 모두 성별과는 상관이 없었으며, | ||
| - | {{:class: | + | {{c: |
| \\ 그림 2. 이모티콘의 사용 유무와 성별간의 상호작용 그래프 | \\ 그림 2. 이모티콘의 사용 유무와 성별간의 상호작용 그래프 | ||
| Line 161: | Line 161: | ||
| ====부록==== | ====부록==== | ||
| - | < | + | < |
| - | \\ {{:class: | + | \\ {{c: |
| > 최종본입니다. | > 최종본입니다. | ||
| - | \\ {{:class: | + | \\ {{c: |
| - | \\ {{:class: | + | \\ {{c: |
| ====== 위키과제 1: 그룹 멤버 소개 ====== | ====== 위키과제 1: 그룹 멤버 소개 ====== | ||
| Line 263: | Line 263: | ||
| ====== 위키 과제 4 (R 수행) ====== | ====== 위키 과제 4 (R 수행) ====== | ||
| - | {{:class: | + | {{c: |
| ====== 위키 과제 5: 연구 설계 및 디자인 ====== | ====== 위키 과제 5: 연구 설계 및 디자인 ====== | ||
c/mrm/2015/group_05.1467354198.txt.gz · Last modified: by hkimscil
